1969년 1월부터 1978년 12월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Rh음성산모 77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분석 및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산모 총 21,173명중 Rh음성산모는 69예로서 그 빈도는 0.33%였다. 2. 최초산모 Rh감작된 경우는 60명중 5예로 8.3%였고 임신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Rh감각율이 증가하였다. 3. Rhogam을 주사하였던 14예 전예에서는 Rh감작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Rh미감작모에서는 분만, 인공 및 자연유산, 자궁외 임신등 후에는 Rhogam을 투여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된다. 4. Rh 이환된 태아 5명중 4에서 사망하여 높은 주산기 사망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환된 태아의 주산기사망율을 낮추기 위하여서는 철저한 산전관리와 그에 따른 적극적인 처치 및 치료가 요구된다.
Obstetrical problems caused by Rh incompatibility have widely discussed, but recently preventive methods of Rh sensitization by injection of Rhogam has been advocated. Thereafter Rh sensitization has been successfully prevented, and perinatal mortality of affected babies has been remarkably decreased by both concrete antenatal care and treatment. This study consists of 77 cases of Rh negative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delivery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of Severance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