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67년 1월 1일부터 1976년 12월 31일까지 만 10년간 연세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에서 입원하여 분만한 20,335예중 쌍태아분만은 264예로서 그 발생빈도는 1:77.02이였다. 2. 쌍태임신의 진단은 주로 임상적 복부촉진과 청진(49.62%)으로 하였고, X선 촬영으로 진단한 경우가 34.09%이였다. 3. 쌍태임신의 평균 임신기간은 37.26±3.95주이고, 산전관리를 받은 군에서는 37.43±3.17주, 받지 않은 군에서는 36.93±4.04주이였다. 쌍태임신을 분만전에 진단하였던 군에서는 37.28±3.50주, 분만중에 진단하였던 군에서는 34.50±4.43주로서 쌍태임신에서는 철저한 산전관리를 하여 조기진단을 함으로써 임신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4. 쌍태임신에서 신생아평균체중은 2325g.이며 제1아 2380g., 제2아 2270g.이었다. 쌍태임신진단을 분만전에 하였던 246예는 분만중에 하였던 18예보다 신생아의 평균체중이 무거웠으며, 산전관리를 받았던 171예는 받지 않은 93예보다 신생아평균체중이 무거웠다. 5. 분만방법은 자연 두위분만이 제1아 50.76%, 제2아 42.42%로써 가장 많았고 제왕절개수술은 14.39%에서 시행하였다. 6.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은 진통의 이상이 34.21%로 가장 많았다. 7. 1분 Apgar치에서는 제2아가 제1아보다 낮았으며 5분 Apgar치에서는 제1아와 제2아에서 별차이가 없었다. 분만방법과의 관계에서 보면 감자분만에서 가장 높았고, 자연두위분만, 제왕절개술의 순위이었다. 임신기간과의 관계에서 보면 37주 이상군이 36주 이하군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신생아체중이 무거울수록 Apgar치는 높았다. 8. 주산기사망률은 평균 14.77%였으며 제1아 12.50%, 제2아 17.05%이였다. 15세∼19세군과 49세이후군 즉 고위험률 임신연령군에서 각각 50.00%로 가장 높은 주산기사망률을 나타내었다. 태아 및 신생아 사망 원인은 조산이 44.87%로서 수위를 점하였다. 기왕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주산기 사망률은 높았고, 임신기간이 연장될수록, 신생아체중이 무거울수록 주산기사망률은 낮았다. 분만방법과의 관계에서 제왕절개술이 가장 낮은 주산기사망률을 나타내었고, 산전관리를 받은 경우와 분만전에 진단을 하였던 경우 즉 철저한 산전관리에 의한 조기진단을 받은 경우에서 주산기 사망률이 낮았다.
In order to study twin pregancies, a retrospective survey was carried out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Twin deliveries during 1967-1976 numbered altogether 264, and their relative frequency was 1.30%. Clinical palpation in addition to auscultation and roentgenologic technique had been used in the twin diagnsis. The diagnosis was made prior to delivery in 93. 18% of the cases. The deliveries took place in the 37.26th(S.D. 3.95) gestational weeks on an average. The mean weights of the infants were-A(first baby) 2416.03g.(S.D.802.61), and B(second baby) 2299.81g(S.D. 190.31). The most common manner of twin delivery was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Cesarean section was done in 14.39%, of which the most common indication was hypotonic uterine dysfunction(34.21%). Low one minute Apgar scores occured more often in B twins than among A twins. Breech delivery gave low one minute Apgar scores more often than did spontaneous vertex delivery in both twins. Full term twins and infants weighing more than 2500g. had fewer low one minute Apgar scores than the preterm infants and those with low birth weight. Perinatal mortality(PNM) in the total series was 14.77%(A 12.50% and B 17.05%). The most common cause of perinatal mortality was prematurity in 44.87%. The worst outcome was recorded for the age groups 15-19 and 40, in which perinatal mortality were 50.00%, respectively. The perinatal mortality of both A and B infants was lowest in the group diagnosed early during antenatal care before delivery.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wish to emphasize particularly the importance of the early diagnosis of tw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