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0
18.97.9.170
close menu
SCOPUS
복강경 불임술에 대한 정신의학적 연구
Psychiatric Aspects of Female Laparoscopic Sterilization
민성길(SK Min),김경희(KH Kim),안동원(DW Ahn),곽현모(HM Kwak)
UCI I410-ECN-0102-2009-510-005347065

피임 목적으로 복강경 난관 결찰술을 받은 10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 6개월만에 어떤 정신과적 후유증이 발생하는가를 조사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여성의 불임술은 전체적으로 보아 어느 정도 우울, 불안, 건강염려증 등 정신증상과 그에 수반되는 신체증상들 즉 성욕감퇴, 소화장애, 월경장애, 요통, 심계항진, 두통, 피로 등을 유발시켰다고 생각되나, 그 정도는 병적 상태가 아닌 매우 경미한 상태였고, 또한 대부분 수술에 대해 만족하는 등 정신과적으로 비교적 안전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예후가 나쁜 악화군을 따로 구별하여 호전군과 비교해 보았을 때, 나쁜 예후는 개인력과 가족력에 있어 이에 정신과적 문제가 존재하고 있음과 관련되었다. 즉 너무 일찍 수술하였을 때, 과거 다른 피임법을 사용해 본 경험이 없었을 때 수술동기에 있어 자원이 아닌 타의에 의했을 때 및 결혼과 성생활에 문제가 있었을 때 예후가 나빴다. 그러나 학력, 직업, 종교, 자녀수 및 유산회수 등도 유의한 정도는 아니나 영향을 주고 있었다. 수술을 후회하는 경우가 약 20%에 달했는데, 그 정도는 심하지 않았고, 더구나 복원수술을 고려하는 사람은 전무하였다. 후회하는 이유는 아들이 없거나 하나 뿐이어서 이제 더 이상 아들을 못가지리라는 점과, 불임술이 곧 여성으로서의 기능상실을 의미한다고 믿거나, 수술에 대한 비상식적인 기대가 충족되지 않은 것 등이었다. 이는 남아선호 경향과 의학적 무지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이러한 후유증을 극소화 또는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원자에 대해 수술전에 적절한 정신과적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결론 지었으며 그 기준에 대해 논의하였다.

A psychiatric study was conducted on the female sterilization with randomly selected 102 women who had been given the laparoscopic tubal ligation for contraceptive reason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April to September in 1977. Each patient was interviewed evaluated her emotional state by two psychiatrists twice, before and six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raceptive laparoscopic tubal ligation was a relatively safe procedure in psychiatric aspects and that most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operation. However, some patients complained that various psychiatric symptoms had developed or aggravated after the operation as sequele. Those were depression, anxiety, hypochondria, fear, impaired intellectual functioning, irritability and associated psychosomatic disturbances such as decreased libido, indigestion, menstrual disturbance, headache, palpitation, backache and fatigability. But those symptoms were not of neurotic severity but of very mild one.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poor outcome were associated with patient` already existing psychiatric problems in their personal life, premorbid personality and their motivation for the operation.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were too early operation in young age, involuntary operation, less experience with other contraceptive methods, neurotic personality and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marital and sexual life. Other factors such as religion, number of children and occupation were also discussed. About 20% of the patients regretted for the operation but no one considered the repairing operation. The main reason of regret for the operation were that they had no son or would never have son any more in the future, and that the tubal ligation would mean the loss of feminity and sexual function. These seemed to reflect the boy-preferring tendency in korean society and their poor medical knowledge. So we concluded that, to minimize or prevent these sequele, preoperative psychiatric evaluation i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