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SCOPUS
우리나라 여성 초경에 관한 연구
Menarche in Korea Women
구병삼(BS Koo)
UCI I410-ECN-0102-2009-510-005408963

1)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초경연령은 (60세전 20세후)은 15.55세이다. 2) 각 연령층에 대한 평균초경연령은 i) 20대여성(20∼29세)에서 14.84세, ii) 30대여성 (30∼39세)에서 15.44세, iii) 40대여성(40∼49세)에서 15.72세, iv)50대여성(50∼59세) 15.98세, v)60대여성 (60세이상)에서 16.07세이다. 3) 초경이 나타나는 빈발연령은 15세대(24.6%), 16세(22.01), 14세(16.5%), 17세(14%)의 순으로 많이 출현되고, 나타나는 연령범위는 12세에서 19세(98.75%)와 13세에서 18세 (94.25%) 사이이다. 4) 60대여성에 비하여 20대에서는 1.23세가 낮아(빨라) 졌으며 50대여성에 비하여서는 20대에 와서 1.14세가 빨라 졌다. 초경연령의 분포에 있어서는 60대에서 13세에서 18세 에 이르기 까지 완만(graph상에서)한데 비하여 20대에서는 15세에서 가장 많이 출현되 는 양상을 볼 수 있다. 5) 여학생군 학년별 초경현황을 보면, i) 초등학교 5학년의 경우 3.60%(평균10∼11세) ii) 초등학교 6학년의 경우 6.82%(평균11∼12세) iii) 중학교 1학년의 경우 30.53%(평균12∼13세) iv) 중학교 2학년의 경우 66.29%(평균13∼14세) v) 중학교 3학년의 경우 95.63%(평균14∼15세) vi) 고등학교 1학년의 경우 98.23%(평균15∼16세) vii) 고등학교 2학년의 경우 99.1%(평균16∼17세) viii) 고등학교 3학년의 경우 99.81%(평균17∼18세) 로서 중학교 1학년과 2학년에서 가장 많이 출현됨을 볼 수 있다. 6) 각 연령층의 평균초경 경험연령의 평균치로서 산출된 회귀방정식(Regression Equation)은 42.5세에서 “y=14.105+0.034x”이다. 7) 지역별 평균초경연령의 분포에 있어서는, 가) 서울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은 15.29세(60세 이후는 제외)이며, 나) 경기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은 15.67세이며 빈발연령범위는 11세에서 21세이었다. 다) 충청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은 15.91세이며 빈발연령범위는 11세에서 21세이었다. 라) 경상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은 15.20세이며 빈발연령범위는 12세에서 20세이었다. 마) 전라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은 16.40세이며 빈발연령범위는 13세에서 20세이었다. 바) 강원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은 15.96세이며 빈발연령범위는 12세에서 19세이었다. 8) 50대에서 20대에 이르면서 초경연령이 빨라진 정도를 지역별로 보면 전라북방의 여 성이 1.75세로 가장 빨라졌고, 다음이 충청지방의 여성이 1.75세로 가장 빨라졌고, 다음 이 충청지방(1.44세), 경기지방(1.38세), 강원지방(1.18세), 경상지방(0.89세), 서울지방 (0.68세)의 순서이다. 9) 대체로 6개지방의 평균초경연령의 빠른 순서를 보면 제1위가 경상지방의 여성(15.20 세), 2위(15.29세)가 서울지방, 3위ㅣ(15.67세)가 경기지방이며 그 다음의 순위는 충청 (15.9세), 강원(15.96세), 전라(16.40세)지방의 순으로 되어있다. 10)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여성의 초경연령은 세대의 차이와 더불어 낮아(빨라) 지고 있으며 도시와 시골간의 지역적 차이를 보았고, 선진국(미, 영, 구)의 12∼13세에 비하 여 늦은(15∼16세)것을 보았다. 이에 반하여 현재의 초등학교학생중 이미 5학년에서 그리고 5학년에서 조숙된 소녀는 월경이 시작 되므로 이에 대한 청소년들의 적절한 생식생리 및 성교육이 요청되지 않나 사료되며, 중학교(12∼13세)에 이르면 1학년에서 2학년에 이르면서 가장 많은 66.3%에 서 그리고 3학년에 이르기까지 99.0% 이상에서 2차성징의 발달과 월경이 출현되므로 이 연령층에 알맞는 생식생리학의 교육이 또한 요구되지 않나 사료되는 바이다.

The menarche is an indication of both the onset of female reproductive capacity and individual maturity. The onset of the menarche differs with the individual and is affedted by such variables as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climate, geographical location and general physical condition.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relatively accurate health statistics, but we in Korea are still lacking them.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classify data relative to the physiology of korean Women; furthermore, this study may contribute toward a basis for sex education among young women and family planning among general population.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72 to Septembdr 1976, 21,058 korean women of all age groups, both urban and rural, were asked to respond to quewtionar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at menarche was 15.55 years of age among the groups from 20 to 60 years old. 2. The mean age at menarche in dach age group was; ⅰ) 14.84 years old in 20`s (20-29 years old) ⅱ) 15.44 years old in 30`s (30-39 years old) ⅲ) 14.84 years old in 40`s (40-49 years old) ⅳ) 14.84 years old in 50`s (50-59 years old) ⅴ) 14.84 years old in 60`s (60-69 years old) 3. Menarche occured in 98.75% of those women between 12-19 years of age and in 94.25% of women between 13-18 years of age. More specifically, menarche occured in 24.6% of women at 15 years of age, in 22.0% at 16 years of age, in 16.5% at 14 years of age and in 14% at 17 years of age, respectively. 4. the start of menstruation was 1.23 years earlier in the 20`s than in the 60`s and 1.14 years earlier than in the 50`s. On the graph. an even age distribution from 13-18 years of age was seen in the 60` group, but 15 years of age was the most frequent age of onset (narrow and sharp rise than 60`s of figure) in the 20`s group. 5. the incidence of menarche among school girls was 3.6% (age; 10-11 years old) at 5th grade frammar school, 6.8% (age; 11-12 years old) at 6th grade grammar school, 30,5 (age; 12-13 years old) at lst grade middle school, 66.3% (age; 13-14 years old) at 2nd grade middle school, 95.6% (age; 14-15 years old) at 3rd grade middle school, 98.2% (age; 15-16 years old) at lst grade high school. 99.1% (age; 16-17 years old) at 2nd grade high school, and 99.8% (age; 17-18 years old) at 3rd grade high school, This showed that the majouity of girls experienced their first menstraation between the lst and 2nd graed of middle school. 6. From among all the age groups, 20 to 0ver 60 inclusive, the 40-49 age group with a mean age of 42.5 years was selected. The regression Equation at 42.5 years of age was y=14.105+0.034x. 7.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mean age at menarche was; ⅰ) 15.29 years of age in Seoul (age beyond 60 excluded) ⅱ) 15.67 years of age in Kyungki Province (majority showed between 11-21 years old). ⅲ) 15.91 years of age in Choongchung province (majority showed between 12-21 years old). ⅳ) 15.20 years of age in Kyungsang province (majority showed between 12-20 years old). ⅴ) 16.40 years of age in Gulla Province (majority showed between 13-20 years old). ⅵ) 15.96 years of age in Kangwon Province (majority showed between 12-19 years old). 8. When the 20`s group was compared with 50`s group in each province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20`s group experienced menarche 1.75 years earlier than the 50`s group in Gulla Province, 1.44 years earlier in Choongchung province, 1.38 year earlier in Kyungki province, 1.18 years earlier in kangwon Province, 0.89 year earlier in Kyungsang province, 0.68 years earlier in Seoul. 9. The order of mean age at menarche in 6 province was: 1st : 15.20 years of age in kyungsang Province, 2st : 15.29 years of age in Seoul, 3st : 15.67 years of age in kyungki Province, 4st : 15.9 years of age in Choongchung Province, 5st : 15.96 years of age in kangwon Province, 6st : 16.40 years of age in Gull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