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진단적 복강경술의 임상적 연구
Gynecological Application of Diagnostic Laparoscopy
장윤석(YS Chang),서상준(SJ Suh)
UCI I410-ECN-0102-2009-510-005349701

진단한 복강경술을 시행한 92예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적응증은 원발 및 속발성 불임환자가 51예로 가장 많았고 자궁외 임신이 의심되는 환자가 24예로 그 다음의 순이었다. 2) 자궁난관조경술상 양측난관 폐쇄로 진단된 51예중 26예(51%)에서 난관의 양측 혹은 편측의 색소소통 즉 난관의 소통성이 확인되었다. 3) 자궁외 임신이 의심되는 24예중 8예(33.3%)에서 난관임신이 확인되었고, 10예 (41.7%)는 정상, 3예는 정상임신, 2예는 난소낭종파열, 1예는 만성골반강내염증 및 유착임이 판명되었다. 4) 원발성 무월경 12예중 1예는 부신성기증후군임이 확인되어 cortisone치료를 추천 하였고, 2예는 hormone replacement치료를 추천하였으며 그외에도 골반강내장기를 정확하게 관찰함으로써 진단 및 치료에 큰 도움을 주었다. 5) 골반 동통, 골반내종류등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복강경술로 그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6) 이소성 자궁 내장치 2예를 복강경술을 시행하여 제거함으로써 개복수술을 피할 수 있었다. 7) 92예의 진단적 복강경술 시행예에서 특기할 만한 합병증은 없었다.

Ninety-two diagnostic laparoscopies have been performed to assess the clinical impression from June, 1974 to March, 1977. Fifty-one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bilateral tubal occlusion on hysterosalpingography subsequently underwent laparoscopy and injection of dye through the cervix into the uterus. Bilateral tubal patency was demonstrated in 13 patients (25.5%), and unilateral patency in another 13 cases (25.5%). In the 24 cases of possible ectopic prenancy, only 8 cases (33.3%) have been proved to be tubal pregnancy. Two ectopic intrauterine devices were removen by laparoscopy without laparotomy, and in the 12 primary amenorrhea patients many useful findings for treatment have been found by this procedure. In the view of poor results from tubal plastic procedures, it is advocated that laparoscopy be carried out before tubal surgery on all patients with bilateral negative salpngograms. And thus the laparoscopy may frequently obviate unnecessary plastic tubal surgery and exploratory laparotomy for possible ectopic pregnan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