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3
18.97.14.83
close menu
SCOPUS
자궁내장치 Cu - 7 과 Alza-T 가 자궁내막에 미치는 영향
A Histological Study on the Endomentrial Response to Copper-and Hormone-Releasing Intrauterine Devices
박경자(KJ Park),김승욱(SW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81858

동선이 감긴 자궁내장치 Cu-7과 progesterone을 방출하는 자궁내장치 Alza-T가 자궁내막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아울러 Cu-7사용군과 Alza-T사용군에 있어서의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변화의 차이를 비교관찰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보건상담실을 찾은 유배우 가임여성중 자궁내장치삽입에 적응이 되는 부인을 선택, 이들에게 Cu-7과 Alza-T를 삽입하고 1년이 경과한 후 추구가 가능하였던 Cu-7군 51예와 Alza-T군 46예에서 자궁내장치를 제거하고 자궁내막을 생검하여 H&E 염색과 PAS염색을 실시, 판독이 가능했던 Cu-7군 39예와 Alza-T군 34예의 조직학적 검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직학적소견으로 판정한 월경주기일이 사실상의 월경주기일보다 4일이상 진전 또 는 지연되어 월경주기일과 일치하지 않았던 경통가 Cu-7군에서 25.6%, Alza-T군에서 26.5%로 양군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Cu-7에 있어서는 진전된 소견과 지연된 소견을 나타낸 비율이 같았었는데 반하여 Alza-T에 있어서는 대다수가 진전된 조직소견을 보 였다. 2) 자궁내막증식의 조직소견을 보인 비율은 Cu-7군에서 15.4%로 Alza-T군의 2.9% 보다 훨씬 높았다. 3) Cu-7군에 있어서는 가탈락막반응을 보인 예가 없었는데 반하여 Alza-T군에 있어서는 23.6%에서 관찰되었다. 4) 양군에서 모두 만성자궁내막염의 소견이 흔히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소견을 나타낸 비율은 Cu-7군에서 59.0%, Alza-T군에서 73.5%로 Alza-T군에서 염성반응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5) Cu-7에 있어서는 PAS 양성물질의 감소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Alza-T군에 있어서 는 23.5%에서 PAS양성물질의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6)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Cu-7 이나 Alza-T삽입후에 나타나는 월경주기일과 조직소견과의 불일치, 가탈락막반응, 내막의 증식반응과 염성반응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수정난의 착상을 방해하므로서 피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 histopathologic study on the endometrial response to copper-and hormone- releasing intrauterine devices was performed in order to observe the nature and the incidences of abnormal endometrial findings. Device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Cu-7(200) and Alza-T which releases 50 micrograms of natural progesterone per day. Endometrial biopsies were obtained from 51 Cu-7 users and 46 Alza-T users on their 12-month follow-up visit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25.6 per cent of the Cu-7 users and 26.5 per cent of the Alza-T users, the histological dating did not correspond to their menstrual cycle day, showing endometrial changes, either advanced or retarded 4 days or more from the menstrual cycle day calculated from their last menstrual period. 2) The hyperplastic change was observed in 15.4 percent of the Cu-7 users, whereas the same finding was observed in only 2.9 percent of the alza-T users. 3) The pseudodecidual reaction was not observed in the Cu-7 users, while 23.6percent of the Alza-T users showed the pseudodecidual reaction. 4) The inflammatory response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both groups, and 59.0% of the Cu-7 users and 73.5% of he Alza-T users exhibited significant degree of small round cell infiltration. 5) Definite decrease of the PAS-positive substance in the endometrial glands was observed in 23.5% of the Alza-T users, whereas its decrease was not clearly manifested in the Cu-7 us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