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SCOPUS
자궁경부 질환의 세포학적 및 병리 조직학적 비교연구
A correlative study of cytologic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of the uterine cervical lesions
이봉구(BK Lee),최인준(IJ Choi),이유복(YB Lee),김동식(DS Kim)
UCI I410-ECN-0102-2009-510-005364626

자궁경부 및 질도말표본과 자궁경부생검을 병행한 총 88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88례의 질환별 분포는 만성자궁경부염 34예, 경도, 중증도 및 고도의 상피이상증식증 각각 3예가 있었으며 상피내암 22례 및 침습암 33예가 있었고 침습암중 2례는 현미경적 침 습암이었다. 2. 상피이상증식증의 도말표본 특징은 비정상세포들이 거의 모두가 다각형이며 유리된 배열 소견을 볼수 있었고, 심한 염증 및 출혈의 배경소견은 많지 않았다. 3. 상피내암의 도말표본 특징은 비정상 세포들은 대부분 원형내지 타원형이었으며 유리된 배열이 많이 나타났으나 다수의 유합배열도 관찰되엇고 핵은 비정상세포의 67%가 균일한 굵은 과립상의 염색질 소견을 보였다. 4. 침습암의 도말표본 특징은 비정상세포들의 모양이 원형내지 타원형이 가장 많이 나타나 나 불규칙한 모양의 세포도 자주 볼수 있었고 유리 및 융합된 세포 배열을 관찰하였으며 심 한 염증 및 출혈소견을 지닌 배경이 많았다. 5. 상피내임을 소형 및 대형 세포암, 침습암을 비각화대형세포암, 각화세포암 및 소형세포암 으로 분류 검색한 결과 소형 및 대형 상피내암은 각각 2례, 및 20례가 잇었으며 비각화대형 및 각화세포침습암은 각각 71례 및 6례가 있었고 세포학적 검사로 15례 및 2례에서 검색이 가능하였다. 6. 세포학적 진단 및 조직학적 진단과의 일치율은 중등도 및 고도의 상피이상증식증 각 3례 (100%) 상피내암 22례중 21예(95%) 침습암 23례중 현미경학적 침습암 2례와 불량한 도말표 본 1례를 제외하면 20례(100%)이었으며 총체적으로는 51례중 47례로서 92%의 일치율을 보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분석하면 세포병리학적검사로 자궁경부병변 즉 상피이상증식증, 상피내 암 및 침습암 등을 진단하는데에도 정확율이 높으며 자궁경부암의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 다고 알려진 유형까지도 구별이 가능함으로 자궁경부암의 예방 조기진단 및 치료에 큰 도움 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 The cervical lesions of 88 cases consisted of 34 cases of chronic cervicitis, 9 cases of epithelial dysplasia 22 cases of carcinoma in situ and 23 cases of invasive carcinoma including 2 cases of microinvasion. 2. The characteistic of the smear in epithelial dysplasia were polyhedarl in shape, isolated in arrangement and uniformly finely granular in chromatin pattern (96%) without nucleoli.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ear of carcinoma in situ were abnormal cells with round ot oval in shape and either isolated or syncytial in all arrangements . The abnormal cells of the smear had the nuclei with uniformly coarse chromatin in 67 percent of cells.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asive carcinoma in smear were round oval in shape, equal degrees of either isolated or syncytial in arraggements with frequent inflamatory and bloody background. The 55 percent of abnormal cells showed irreqularly coarse granular chromatine of nuclei with 6% of micronueleoli and 14 % of marconucleioli. 5. The 22 cases of carcinoma in situ consisted of 2 cases of small cell type and 20 cases of large cell type. The cytologic diagnosis was correct in 15 cases out of 17 cases of non-keratinizing large cell type and 2 cases out of 6 cases of keratinizing cell type. 6. The ratio of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ytologic and histopathologic diagnoses was 100% in moderate to severe degree of dysplasia, 95% in caricinoma in situ, 100% in invasive carcinoma and 92% in total cas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