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68
18.97.9.168
close menu
SCOPUS
난소암의 조기진단
홍성봉(SB Hong)
UCI I410-ECN-0102-2009-510-005382880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난소암은 10만 인구당 10 내지 18명의 발생빈도로 보고되어 있으며 모성암의 3%를 차지하고 있다. 1964년 New York의 사인보고에 의하면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사망보다 난소암으로 인한 사망 부인수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고 한다. 이 사실은 난소암치료의 해결을 못 본 까닭에 조기진단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현실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런데 난소암의 조기발견이 지난한 이유로서는 1) 난소암의 조기발견이 유일한 방도는 pelvic mass의 진 단인데 허다한 경우 기능성 난소종양을 제외하고는 그 조기발견은 임상적으로 난제로 되어 있으며 심지어 난소암의 말기에서도 난소의 이와같은 소견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허다한 것이다. 2) 난소암의 증상 또 는 증후가 비특이적이며 다양 한데 있으며 3) 난소암의 발병은 대단히 완서하여 난소암수술당시 병변이 난 소에 국한된 경우는 30%에 불과하며 또 초진당시 20 내지 80%는 말기에 해당한 경우라고 한다. 4) 난소암 은 양성난소종양으로부터 예기치 않은 사이에 악성화할 수 있다는 사실등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