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SCOPUS
자궁경관점액의 결정상 및 그 임상적 응용
박규훈(KH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5384455

경관점액의 결정상은 월경주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estrogen활동과 배란에 평행하여 출현 또는 소실한다는 선인들의 업적들을 임상적으로 응용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비임부인에 있어서 월경주기와 결정상의 출현은 일정한 주기적변화가 있다. 즉 난포기에는 (+), 배란기에는 (+++), 배란후 즉 황체기에는 (-)로 나타난다. 2. 임신시에 있어서의 결정상은 거의 음성이나 간혹 양성으로 나타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임신조기진단에 보조적의미가 있다고 본다. 3. 비강분비액에 있어서는 임신, 비임신의 경우를 막론하고 결정상이 양성이었으며 성주기적 변화에 따르는 차이가 없으므로 임상적응용가치는 없다고 본다. 4. 임신 이외의 무월경인 예에 있어서 결정상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임신을 거의 확실히 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인 경우에는 이 결정상검사만으로서 임신, 비임신을 판단할 수는 없다. 5. 유산의 경우에 있어서 결정상 양성 또는 음성으로 예후를 판정할 수 있다는 설이 있으나 본실험결과로서는 신용할 만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본다. 6. 이상으로서 본검사(Fern test)는 estrogen활동 또는 배란유무에 대한 간단한 판단법으로 충분히 임상적으로 응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