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한국인에서 전신마취시 정주한 Lidocaine 의 집단 약동학적 검토
오용석(Yong Seok Oh) , 이경훈 , 김상태 , 박경수 , 차영남 , 강주희 , 백현문
정맥마취 2권 4호 446-453(8pages)
UCI I410-ECN-0102-2009-510-00526049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서 론 : Amide 계통의 국소마취제인 lidocaine은 기관내 삽관에 따른 심혈관계의 반응을 둔화시키기 위해 사용하지만, 치료지수가 작아 과량사용 및 혈관내 주입시 중추신경계 및 심혈관계에 독성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약동학적 요인들이 용량 선택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lidocaine의 약동학적 파라미터들의 평균값과 분포를 파악하고자 집단약동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간 및 심장과 신장 기능이 정상이고 미국 마취과학회 전신 상태 분류 1 또는 2등급에 속하며 선택수술이 예정된 남녀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lidocaine 투여량, lidocaine의 동맥혈 혈장농도 및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등을 mixed effect model에 의한 NONMEM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2-compartment open model을 약동학적 모델로 이용하였고 개체차 및 개체내 변이를 고려하기 위해 통계학적 모델을 가미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23명의 환자로부터 lidocaine 투여후 1시간까지의 179개 lidocaine 동맥혈 혈장농도를 분석한 결과, 약물의 청소율은 11.8 mL/min/kg (변이계수: 18.1%), 항정상태 분포용적은 246 mL/kg (변이계수: 28.6%)로 나타났고, 분포반감기 (t1/2 )는 0.44분, 소실반감기 (t1/2 )는 21분이었다. 또한 lidocaine 측정오차, 개체내변이 등을 포함하는 잔존오차 (residual error)는 약 25%이었다. 결 론 : 전신마취하 한국인에서 얻어진 lidocaine 집단약동학적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들은 전신마취하의 환자에서 lidocaine 투여용량의 결정을 위한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