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후보
우리나라 밭 토양 화학적 특성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정병간(Beung Gan Jung),최정원(Jeong Weon Choi),윤정희(Jung Hui Yoon),김유학(Yoo Hak Kim),윤을수(Eul Soo Yun)
UCI I410-ECN-0102-2009-520-0052393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우리나라 밭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도별, 농업기후지대별, 지형별 분포면적비를 고려하여 1992∼1993년의 토양시료 채취한 동일지점에서 854점의 시료를 1997년에 채취하여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밭토양의 평균 화학성분함량은 pH 5.6, 유기물 24g ㎏^-1, 유효인산 577㎎ ㎏^-1이며, 치환성칼륨, 칼슘, 마그네슘함량은 각각 0.80, 4.5, 1.4cmol^+ ㎏^-1이었다. 2. 조사된 토양중 화학성분이 밭작물 생육에 적정한 수준범위에 있는 토양의 분포비율은 pH 13.4%, 유기물 46.7%, 유효인산 27.4%, 치환성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각각 10.7, 15.8, 18.3%이며, 적정수준보다 적은 토양의 분포비율은 pH 76.9%, 유기물 33.0, 유효인산 21.0%, 치환성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각각 30.9, 63.9, 64.5%이었다. 3. 화학성분함량 분포가 많았던 밭토양의 범위는 50.1%가 pH가 5.1∼6.0범위에, 유기물함량은 75.9%가 11∼30g ㎏^-1범위에, 유효인산은 51.6%가 501㎎ ㎏^-1이상 범위에, 치환성 칼륨은 51.4%가 0.71cmol^+ ㎏^-1이상 범위에, 치환성 칼슘은 46.5%가 4.0cmol^+ ㎏^-1이하 범위에, 치환성 마그네슘은 53.0%가 0.6∼1.5cmol^+ ㎏^-1 범위에 대부분의 화학성분이 밀집하고 있었다. 4. 농업기후지대별 토양화학성분 함량은 남부해안지대에서 pH, 유기물, 치환성칼륨 및 칼슘함량이 동해안 중 · 북부지대는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칼슘 및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며, 지형별 토양화학성분 함량은 하성평탄지에서는 유효인산함량이, 곡간 및 선상지는 치환성 마그네슘이, 구릉지는 유기물, 치환성 칼슘 및 마그네슘이, 산악지는 pH와 치환성 칼륨함량이 각각 높았다. 6. 연대별 토양화학성분 변동은 치환성 칼슘 및 마그네슘함량은 변동이 적고, pH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함량의 증가폭이 컸으며 동일지점에서 1993년에 조사된 정점성적보다는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륨함량의 증가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a fertility status of upland soil, the soil were sampled at 854 sites chosen in consideration of areal distribution percent on the basis of topography and were analyzed on pH, organic mater, available phosphorus (P_2O_5),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The cont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showed pH 5.6, organic mater 24g ㎏^-1, available P_2O_5 577㎎ ㎏^-1,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were 0.85, 4.5, 1.4c㏖^+ ㎏^-1.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ercent of soil samples within the optimum range for cropping were 13.4% for pH, 46.7% for organic matter. 27.4% for available P_2O_5, 10.7, 15.8, 18.3% for exchangeable potassium and calcium and magnesium, respectively. In chronological changes of soil properties, exchangeable calcium and magnesium were ignorable ; pH was slightly decreased ; organic matter was slightly increased ;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potassium were greatly increa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