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4세, 6세와 8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도덕적 규칙과 사회관습적 규칙에 대한 이해의 발달, 그 특징,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는 도덕적 규칙과 사회 관습적 규칙을 위반한 행동을 제시하고, 비허용성, 심각성, 벌의 정도, 권위독립성, 규칙독립성, 그리고 일반성의 준거판단에서 평가하게 하였다. 6세 아동들은 심각성, 8세 아동들은 심각성, 벌의 정도와 일반성에서 두 종류의 규칙을 구분하였다. 실험 2에서는 동양 문화권 특유의 어른에 대한 존경과 관련된 사회관습적 규칙에서 도덕화 경향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도덕적 규칙, 일반적 사회관습적 규칙과 어른에 대한 사회 관습적 규칙을 위반한 행동들을 제시하고, 비허용성, 심각성, 규칙독립성, 일반성과 벌의 정도의 준거판단에서 평가하게 하였다, 세 연령의 아동들이 모두 심각성에서 세 종류의 규칙을 구분하여 도덕적 규칙 위반행동, 이론에 대한 규칙 위반행동, 일반적 규칙 위반행동의 순으로 나쁘게 보았고, 6세와 8세 아동들은 도덕적 규칙과 어른에 대한 사회 관습적 규칙이 일반적 사회 관습적 규칙보다 더 일반성을 갖는다고 보아서 어른에 대한 사회 관습적 규칙에서 도덕화경향이 나타났다. 실험 3에서는 사회 관습적 규칙의 도덕화 경향이 우리나라 아동들이 사회관습적 규칙을 위반함으로써 발생하는 도덕적 결과 즉 타인에게 입힐 피해에 민감하기 때문에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사회 관습적 규칙과 그렇지 않은 사회 관습적 규칙의 위반행동을 제시하고 심각성, 권위독립성, 일반성, 벌의 정도와 규칙독립성에서 평가하게 하였다. 6세 아동들은 모든 준거판단에서 그리고 8세 아동들은 심각성과 벌의 정도에서 두 종류의 규칙을 구분하여 전자의 규칙에 대해 더 도덕적 규칙처럼 반응하였다. 실험 4에서는 도덕적 규칙과 사회 관습적 규칙에 대한 이해가 사회계층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계층이 다른 만 5세 아동들에게 도덕적 규칙과 사회 관습적 규칙을 위반한 행동을 여러 준거판단에서 평가하게 하고 위반행동을 허용할 수 없는 이유를 말하게 했다. 높은 사회계층의 아동들만이 심각성의 준거판단에서 두 종류의 규칙을 구분하였으나, 위반행동에 대한 정당화에서는 모든 아동들이 도덕적 위반행동을 타인에게 돌아갈 피해나 정당성으로, 또 사회 관습적 위반행동을 사회규칙이나 제도의 위반으로 설명하여 두 종류의 규칙을 구분하였다.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rules was examined with 4-, 6-, and 8-year-old Korean children. In Experiment 1, children evaluated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 on six criterion judgements, nonpermissibility, seriousness, degree of punishment, authority contingency, rule contingency, and generalizability. Moral transgressions were judged to be worse in six- and eight-year-olds, but more generalizable and worth of more punishment than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 in eight-year-olds. In Experiment 2, children evaluated moral and two kinds of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transgressions of general social-conventional rules and rules concerning respect for adults. Transgressions of rules for adults were judged to be worse in all ages, more generalizable in six- and eight-year-olds, and more rule-independent in eight-year-olds than other transgres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treat social rules for adults as moral rules. In Experiment 3, children evaluated two kinds of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transgressions involving and not involving obvious harms to others. Transgressions involving obvious harms were judged to be worse and worth of more punishment in six- and eight-year-olds than other transgressions. In Experiment 4, 5-year-olds from middle and lower social classes evaluated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 Only children from middle class judged moral transgressions to be worse than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 However, children from both classes justified moral transgressions on the basis of other`s welfare and fairness, but social-conventional transgressions on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rule or autho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