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폐금속 광산에서의 독성 원소들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다덕 Au-Pb-Zn 광산 주변 지역에서 광미, 토양, 농작물 및 자연수를 채취하여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덕광산 주변에 페기된 광미중의 원소함량은 8,782 mg/kg As, 8.3 mg/kg Cd, 489 mg/kg Cu, 3,638 mg/kg Pb, 919 mg/kg Zn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광미가 바람이나 유수에 의해 광미댐 하부에 있는 농경지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크므로 이들 농작물과 지하수 시료들에 화학분석자료와 토양에 대한 SBET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인체 위해성 평가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다덕광산 주변 지역 주민들이 독성원소들에 노출되는 경로에 따른 노출평가 결과, As은 벼이삭의 노출경로를 통해, Cd와 Zn는 배추의 노출경로를 통해 그 섭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성 평가 결과에 의하면, As에 대한 독성지수(HQ)가 27로 나타나 독성위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암위해성은 오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쌀섭취에 의해 As에 의해 암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은 천명중의 5명으로 나타났으며,이는 US-EPA에 제시한 risk의 기준치인 백만분의 1 ∼ 만분의 1보다도 훨씬 높게 나타났다.
Environmental geochemical survey was undertaken in the abandoned Daduk Au-Pb-Zn mine area to assess the risk of adverse health effects on human exposure to arsenic and toxic heavy metals influenced by past mining activity. After appropriate sample preparation, tailings, soils, crop plants and waters were analyzed for As, Cd, Cu, Pb and Zn by ICP-AES and ICP-MS at the British Geological Survey (BGS). Elevated levels of 8,782 mg/kg As, 8.3 mg/kg Cd, 489 mg/kg Cu, 3,638 mg/kg Pb and 919 mg/kg Zn were found in tailings from the Daduk mine. These significantly high concentrations may impact on soils and waters around the tailing ponds. ln order to perform the human risk assessment modeling, the SBET results of arable soils and chemical analysis data of crop plants and groundwater for As, Cd and Zn have been used. Toxic (non-carcinogenic) risk is the highest for As and probability of carcinogenic risk due to A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rice consumption. The carcinogenic risk is five in a thousand, and this risk level is greater than that of 1 in 10,000 to 1 in 1,000,000 range required to perform reme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