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지역 설화 광산의 중열수 금광화 작용은 경기육괴의 화강암류내에 발달된 북동방향 단층전단대를 충진한 괴상의 단성 석영맥내에 배태되어 있다. 설화 중열수 금광화 작용은 설화 화강암류(161 Ma)와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현재까지 남한에서 기보고된 중열수형 광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에렉트럼의 높은 함금량; 2)선캠브리아기 준편마암내 배태; 3)괴상 형태의 단성 석영맥; 4) Ag-Sb(-As)계 광물의 미산출이 특징인 단순 광물조성; 5) 미약한 모암변질작용. 설화 중열수형 맥의 산출광물은 단순하며, 주로 미량의 황화물과 금으로 구성되어있다. 황화물과 연관되어 있는 금립(에렉트럼과 자연금)은 전형적으로 초기 침전된 석영을 절단하는 세맥내에서 산출된다. 설화광산의 에렉트럼은 금이 풍부하며, 69.7∼90.9 atomic. % Au의 함량을 나타낸다. 자연금(9.1∼20.0 atom. % Ag)은 석영의 열극내에 단독으로 산출되거나 황동석의 열극내에서 산출되는 경향이 있다. 에렉트럼(20.2∼30.3 atomic. % Ag)은 석영 및 황화물의 열극을 충진하는 휘창연석, 황동석, 방연석, 섬아연석, 텔루르휘창연석과 연관되어 산출된다. 지배적인 함철 황화물은 자류철석, 황동석, 섬아안석이며 특징적으로 Bi(-Te)-S 광물이 산출된다. 주요 금침전에 대하여 추정해 본 온도 및 유황분압은 약 450°∼520℃, 10^-3∼10^-5 atm 이다. 공생관계에서 대부분의 금이 섬아연석보다 후기에 침전되었기 때문에, 설화광산의 금침전은 아마도 이 온도범위중 낮은 온도(450℃) 근처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광화후기의 텔루라이드-금광화 작용시, 비스무스-텔루라이드 광물의 산출은 후기 광화작용중 텔루륨 분압의 증가를 지시한다.
Mesothermal gold mineralization of the Seolhwa mine was deposited in a single stage of massive quartz veins which filled the mainly NE-trending fault shear zones exclusively in the granitoid within the Gyeonggi Massif. The Seolhwa mesothermal gold mineralization are spatially associated with the Seolhwa granitoid (161 Ma). The mesothermal-type deposits documented up to date in South Korea are exclusively gold-rich and are characterized by being situated solely within Precambrian paragneiss, and by a single stage of massive quartz veins, the simple mineralogy consisting of poor sulfides and gold with an absence of any silver-sulfosalts, and the weak wall-rock alteration. The mineralogy of the Seolhwa mesothermal-type veins is simple and consists mainly of rare sulfides and gold. Gold grains(electrum and native gold) associated with sulfides typically occur within the veinlets cutting earlier-deposited quartz. The electrums from the Seolhwa deposit are gold-rich, ranging from 69.7 to 90.9 atomic% Au. Native gold(9.1-20.0 atom. % Ag) occurs as free gold within the fracture of quartz and is intergrown with chalcopyrite. Electrum(20.2∼30.3 atom. % Ag)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bismuthinite, chalcopyrite, galena, sphalerite, tellurobismuthite infilling fractures of quartz and sulfides. The dominantiron-bearing sulfides are pyrrhotite, chalcopyrite and sphalerite, and characteristically contain Bi(-Te-S)minerals. The fugacity of sulfur of the auriferous mesothermal fluids was evolved and progressively decreased close to the pyrite-pyrrhotite sulfidation curve. The estimated temperature and log f_S2 for the main gold deposition are about 450° to 520℃ and about -3 to -5 atm. Because most golds were precipitated paragenetically later than sphalerites, main gold deposition at Seolhwa probably occurred near the lower temperature(450℃) within this range. During the late telluride-gold mineralization, Bitelluride and electrum were deposited with galena. The occurrence of tellurides in veins may indicate an increase in f_Te2 during the late miner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