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통제 단어 연상 검사 (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의 노인 규준 연구
Brief Report :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 COWAT ) in the elderly
강연옥(Yeon Wook Kang),진주희(Ju Hee Chin),나덕렬(Duk L . Na),이정희(Jung Hee Lee),박재설(Jae Seol Park)
UCI I410-ECN-0102-2009-180-00635501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통제 단어 연상 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는 범주 유창성 검사와 글자 유창성 검사의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는 생성이름대기 검사이다. COWAT가 전두엽 손상의 탐지에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은 여러 선행 연구들(e.g., Vilkki & Holst, 1994)에서 이미 밝혀진 바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치매환자의 평가에 COWA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의 신경심리학적 평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 노인들의 COWAT 규준을 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55세 이상 80세 이하 다양한 연령층의 정상노인 451명에게 "동물"과 "가게물건"으로 구성된 범주 유창성 검사와 " ㄱ, ㅇ, ㅅ "으로 구성된 글자 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교육수준과 나이는 범주 유창성 검사와 글자 유창성 검사 모두의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성별은 범주 유창성 검사의 수행에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같은 반응을 반복하는 보속반응과 해당 범주나 글자와 관계없는 반응을 하는 침입오류는 정상노인들에게서는 두 검사 모두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각 검사별로 교육수준, 나이 및 성별에 따른 규준들을 제시하였다.

The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is a generative naming test that consists of the category (semantic) fluency test and letter (phonemic) fluency tes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OWAT is very sensitive to the frontal lobe damage (Vilkki & Holst, 1994). Recently, the COWA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elderly population for differentiating the demented elderly from healthy ones in Korea as well as in wester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 normative data of the Korean version of COWAT in the elderly. The Korean version of COWAT including the categories of “animal” and “supermarket list” and the letters of "ㄱ, ㅇ, ㅅ," was administered to 451 healthy elderly ranging in age from 55 to 80. The effects of age, educational level, and sex were found in the performance of the category fluency test, whereas age and education level, but not sex,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tter fluency test. The subjects committed very few perseveration and intrusion errors in both tests. The norms broken down by age, education level, and sex for each test were presen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