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집단(이하 PTSD)의 로샤 반응 특징을 알아보고 정신분열증 집단의 로샤 반응 양상과 비교하여 인지적 손상의 정도와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PTSD 집단은 남편의 폭력으로 인하여 PTSD로 진단 받은 여자환자 23명으로 이루어졌고 정신분열증 집단은 이에 상응하는 여자 환자 28명으로 구성되었다. 로샤 반응들은 Exner 종합체계(1993)에 따라 실시, 채점되었고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PTSD 집단은 X+%가 56%, F+%가 47%로 정신분열증 집단 정도는 아니지만 현실 지각능력이 저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낮은 Lamda, W보다 적은 D반응, 낮은 Zd 등에서 나타나듯 자원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es와 Adj es가 높게 나타났고 우울지표와 자살지표에 있어서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정신분열증 집단과의 t검증 결과, W, Lamda, es, Adj es, FM, C´, X+%, X-%, AG, Sum6SC 등의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PTSD 집단이 관습적, 현실적 지각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는 하지만 정신분열증 집단이 현실지각에 있어서의 왜곡과 사고 장애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PTSD 집단은 정서경험을 통제하거나 자극으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데 실패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iming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rschach responses demonstrated by a group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atients, this study compared them with the Rorschach responses shown by a group of schizophrenia to shed lights 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impairment. The group of PTSD consisted of 23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PTSD from the violence of their spouses while the group of schizophrenia consisted of corresponding 28 females. Rorschach protocols were administered, scored and analysed under adherence to the Exner Comprehensive System(1993).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in case of the PTSD group, X+% is recorded 56%, and F+% is 47%, which falls short of the result from the schizophrenic groups. Those figures indicate that the PTSD group exhibits impaired reality-tasting abilities. It also turned out that they failed to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utilize the resources such as low Lamda, more W response then D, and low Zd. Also high es and Adj es are recorded along with higher-than-normal DEPI and S-Con. The result from t-test compared with the schizophrenic group showed the differences in several variables such as W, Lamda, es, Adj es, Fm, C`, X+%, AG, Sum6SC. Having impaired reality-tasting ability, the PTSD groups are related to the failure to control emotional experiences and to keep proper distance from stimulus, while the schizophrenic groups suffer from the distortion in reality perception and problem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