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기능의 장애와 정신분열병의 신경생리적 기전을 사건관련전위와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P300 진폭과 지연된 P200, N200 및 P300의 잠복기를 보였다. 신경심리검사에서는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특히 언어 및 비언어 기억, 언어 학습,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하는 검사의 수행이 두드러지게 저하되었다. 사건관련전위의 진폭 및 잠복기와 신경심리검사의 수행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P200과 N200은 선로잇기검사(B형), 대상교대검사(OAT)와 상관을 보인 반면 P300은 언어학습검사(LNVLT),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WCST) 등과 상관을 보였다. 이 결과들이 시사하는 것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정보처리 과정의 장애를 갖고 있고, 이 장애가 정보처리 과정의 초기 단계인 자극의 부호화, 자극의 확인 및 분류과정부터 이미 시작된다는 것이다. 사건관련전위의 초기 정점인 P200과 N200은 주의력, 정신과정의 유동성 등의 인지 과정을 반영하는 한편 후기 인지정점인 P300은 보다 더 상위 기능인 문제해결력, 언어 학습 및 언어 기억 등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 결과들은 정신분열병이 제한된 특정 대뇌영역보다는 전두엽, 측두엽 등을 포함한 다양한 대뇌 영역의 구조적 흑은 기능적 이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of schizophrenia by event-related potential(ERP)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The pati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P300 amplitude and prolonged P200, N200, P300 latency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impaired performance on tests evaluating problem-solving, verbal learning and verbal memory. The amplitude and latency of P200 and N200 were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f Trail-Making Test(B) and Object Alternation Test(OAT), while the late cognitive peak, P300, was correlated with performance of Verbal learning Test(LNVL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chizophrenic patient has impairment of information-processing, and this impairment begins to emerge from the early stages of information-processing such as encoding,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timulus. P200 and N200 seem to be affected by subject`s attention or mental flexibility, while P300 is associated with higher cognitive functions such as problem-solving, verbal learning and verbal memory.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schizophrenia is related to the structural or functional abnormalities of various cortical areas including frontal and temporal lobe rather than a circumscribed cortic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