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변하는 정보화 전문화 시대에 발맞추어 사무 공간은 업무의 전문화로 각 공간의 특성에 알맞은 디자인이 요구되며, 디자인 요소로써 실내 마감재의 선택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한 마감재의 선택은 재료의 기능성, 경제성, 보수와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시대의 급속한 발전과 변화에 따라 빠른 속도로 새로운 재료가 등장할 뿐 아니라, 기존의 재료에 대한 새로운 사용방법도 출현하고 있어 실내디자인 발전에 큰 몫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모두가 많이 이용하는 공간인 은행의 실내 마감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은행만이 갖는 쾌적한 사무공간을 이루기 위한 적절한 실내 마감재 선택의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서울 소재 시중은행 10곳을 선정하여 각 은행의 실내재료 마감표와 현장답사를 통해 실내 마감재중 바닥재, 벽재, 천장재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현재 많이 쓰이는 마감재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므로서 장단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자연으로부터 환경오염을 줄이고 쾌적한 생활문화에 맞는 은행의 새로운 실내 마감재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Recently, office space Is changing toward spaces to suit the needs for specialization and communication times. The office space is no longer a plane room with desks. As a matter of fact, It is transforming into a room with specific usages. So choosing finishing materials along with designing spac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We should take a great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finishing materials for pleasant work environment. I like to point out that convenience, functional, economical, repairing, and maintenanc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finishing materials. As the finish materials develop through the passage of time, we not only are continuously adapting new materials for use, but express new methods using current materials as well. In this study, recognizing the impotance of finish materials in office spaces of banks for it has been mandatory space wherever community is established, 1 believe that bank offices need finishing materials that follow to the flow of time in establishing a pleasant atmosphere. I pick out 10 banks located in Seoul and analyzed the floor, wall, and coiling finishing materials of each bank and though field investigation. This research will show the kinds of materials currently being used and through analysis, I hope this study to be of support in developing new materials of bank of offices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be fitted in our cultural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