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후보
하수방류에 따른 하천의 용존산소변화 예측
A Model Study of Dissolved Oxygen Change by Waste Water Discharge in the River
최경식(Kyoung Sik Choi),성동권(Dong Gwon Sung),김태근(Tae Keun Kim)
UCI I410-ECN-0102-2009-450-006066477

도시화 현상 및 인구증가에 따라 환경기초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기초시설의 방류수는 인접하천 수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처리장의 규모 및 위치는 하천의 수질을 고려하여 건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시설의 방류수에 따른 하천의 용존산소변화를 STELLA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는데 최소 용존산소량은 4.98ppm으로 처리장으로부터 42.6km하류에 위치한 지점이며 방류수 합류전 하천의 용존산소(7ppm)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 8일이 소요되며 처리장으로부터 약340km 하류지점에서 용존산소 7ppm으로 증가하게된다. 자정작용 중 식물성 플랑크톤의 연산기능의 중요도를 알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기작을 배제하고 연산한 경우 최소 용존산소는 4.92 ppm이며 최소 용존산소농도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0.25일 더 걸리며 방류수 합류전 하천의 용존산소 7ppm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 11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정작용 중 식물플랑크톤의 연산기능의 중요성을 입증한 것이며 새로운 기초시설의 입지는 인접한 기초시설에 따른 하천 수질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