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근대일본어부조사의 의미적 특징에 관하여
The Semantics of Adverbial Particles in Modem Japanese
이묘희(Myo Hee Lee)
언어연구 vol. 17 iss. 1 371-386(16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5835488

본고에서는 근대어 부조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의미적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부조사는 의미성이 강한 조사로 문중의 각종 성분에 의미를 부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조사의 의미 중에 가장 기본적인 것은 「한정」 이며, 광의로 보면 「정도」 의 의미도, 「강조」 의 의미도 한정에 포함되므로, 한정과 정도, 한정과 부정, 강조, 의 셋으로 나누어 관찰해 보았다. 「のみ」 「ほど」와 같이 하나의 의미밖에 지니지 않는 것도 있고, 「ばかり」「だけ」「まで」 「くらい」 처럼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닌 것도 있다. 「ばかり」 의 정도에서 한정의 의미로의 이행과정에서 보면, 정도와 한정의 의미는 연속적이며, 이들 의미는 강조의 의미와도 통하고 있다. 「しか」 류는 항상 부정과 호응하여 한정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부정어와 호응하는 이들 조사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은 근대어의 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부조사의 의미와 상호 승접과의 관점에서도 살펴보았는데, 부조사끼리의 상호 승접에서는 객관에서 주관으로의 어순이 인정됨을 알 수 있었다.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