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시계열 회귀분석모형을 사용하여 향후 10년간의 유치원 교원수요의 크기에 대한 예측이 시도되었다. 예측을 위한 독립시계열로는 유치원수, 유치원 학급수, 원아수, 그리고 일인당 가처분소득이 검토되었다. 독립시계열 중에서 유치원수와 유치원 학급수의 미래값은 지수평활모형에 의하여 예측되었고, 원아수와 일인당 가처분소득의 미래값은 이 일련의 연구의 전반부인 `중 · 장기 유아교육 수요예측( I ): 원아수 예측`의 연구결과가 사용되었다. 모형의 추정결과는 유치원 원아수만을 독립계열로 사용한 시계열 회귀분석모형이 교원수의 변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의 결과는 10년 후인 2009년에는 유치원 교원수가 1999년의 26,164명에서 33,568명으로 28% 증가되어 7,404명의 신규교원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의하면 2009년의 유치원 교원 일인당 원아수는 1999년의 20.42명에서 19.55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a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this study predicts the number of pre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for the next 10 yea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preschools, the number of preschool classes,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individual disposable income. The predicted values using exponential smoothing model were used for the number of preschools and the number of preschool classes, and the results of the first part of the series of studies were then projected as future values for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an individual disposable income. Results: the time series regression model using only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s independent variable best explained the number of preschool teachers. Predictions: the number of preschool teachers in 2009 will be 33,568. This is 7,404 more than the number of preschool teachers in 1999 (26,164) The number of children per teacher in 2009 will be 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