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이 시도하는 복장변형행동의 긍정적 심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복변형·두발변형·장신구착용으로 나타나는 복장변형행동과 창의성, 의상심미성, 개성, 자기효능감 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고등학교 3 학년에 재학중인 남자 청소년 319 명 (평균 연령 17.8세) 과 여자 청소년 312 명 (평균 연령 17.8 세) 에게 의복변형, 두발변형, 장신구착용 유무와 그 종류 및 창의성, 개성,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문항에 응답하게 하였다. 그 결과, 복장변형자들은 의상에 대한 관심 때문에 그 행동이 나타나고 두발변형자는 착용 통학복에 대한 불만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복장변형집단의 창의성, 의상심미성이 복장 비변형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개성의 경우는, 두발변형자와 장신구착용자의 경우만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시간과 관련된 자기효능감 인자에서는 의복변형자의 경우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제까지 청소년비행으로 연구되어 온 복장변형행동이 일반학생들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오히려 창의성, 개성, 의상심미성 등의 표출행동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행동이 필요함을 말해 주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해석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behavior of school uniform and creativity, aesthetic sense, individuality. The subjects were 317 boys(mean age: 17.8) and 312 girls(mean age: 17.8) in third grade of high school.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4 high school students who wore uniform and 4 high school students wore clothes freely chosen. They were administer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aires to measure the creativity, aesthetic sense, individuality, self-efficacy and clothing related variable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change behavior of school uniform as 3 kinds: clothes change, hair change and accesary wear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s who did change their uniform were more better than those who did not in creativity, aesthetic sense. Those who were concerned with clothes did change more their uniform. In general, those who change their appearance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low self- efficacy.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those who changed their hair and wore their accesaries and those who did no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its implication and following stud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