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초기 사회에는 대도시마다 맡은 청소년 범법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주거지가 없었으며 일종의 "위험한 계층(Dangerous Class)"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 사회의 청소년 비행과 이에 대한 당시의 대책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대적으로는 1870년부터 1910년까지로 한정하였으며 최초의 문헌들(Primary Literature Sources)을 연구함으로써 "당시에 어떤 청소년 비행이 있었는가?", "이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들은 어떤 것이 있었는가?", "이러한 대책들의 효과는 어떠하였는가?" 와 같은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된 시기에는 자선조직운동이 한창이었고 경제공황이 있었으며 빈곤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들이 시작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청소년비행자들을 시설에 수용하는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실시된 여러 대책 가운데에서 빈곤한 남녀 청소년을 위한 최선의 예방책은 직업훈련이었다. 빈곤한 소녀들 사이에는 매춘 행위가 만연해 있었는데, 이들을 위해서는 재봉이나 요리와 같은 직업훈련이 효과적이었다. 19세기 말 무렵 주거지가 없는 청소년들을 타인의 가정에 위탁하는 제도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당시 집이 없는 소년 소녀들은 위탁 가정을 찾아 서부 지역으로 보내졌다. 이는 가정에서의 보살핌을 시설에 수용하는 것보다 선호한 일면이기도 하다.
In the earlier period of American society, there were a great multitude of the young ruffians of big cities who have no home became the "dangerous cla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treatment, the time period for this study was limited to 1870-1910 to pursue answers through primary literature sources to research questions such as "what kinds of juvenile delinquency were there?", "what kinds of efforts were made to treat the youth`s problems?", "what was the effectiveness of those treatments?". In the era, there were the peak of the charity organization movement and the industrial depression, the beginning of movements which are based on the prevention of poverty, and the revival of institution-oriented delinquent treatment. Among the treatments for the destitute boys and girls, the best preventive was industrial training. Among those girls, prostitution was dominant. To save them, vocational training such as sewing, cooking, etc. was effective. Toward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placing-out of children spread rapidly. The homeless boys and girls had to be sent to a farming family in the West as a foster family. The family-oriented care was preferred to institutional care as a preventive method. And the juvenile courts became the main concept for the problem of juvenile delinquenc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