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장애인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하여 부정적인 자아가 형성되지만, 그들의 자녀양육은 자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책/제도적 지원이 미비하기 때문에 여성장애인들이 자녀양육과 관련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지체, 시각, 청각 기혼 여성장애인 170명(자녀 있음 138명, 자녀 없음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과 장애의 심리적 극복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모색하였다. 연구의 변인으로는 장애유형, 장애등급, 장애의 발생시기, 배우자의 장애유무를 설정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검정하였으며, 이와는 별도로 기혼 여성장애인 5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개인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과 장애의 심리적 극복과는 매우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여성장애인의 장애의 심리적 극복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lthough women with disability come to build up negative self-image by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child rearing plays a great role for unification of society by having affirmative effect on self-image of women with disability. However, due to lack of political/systematic support in Korea, women with disability have much difficulty related to the rearing of children.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disability type, disability grade, a occurrent stage of disability, spouse disability, to grop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rearing of women with disability and mental overcome of disability. Sample of 170 married women (having children: 138 persons, no having children: 32 persons) with crippled disability, visual disability, auditory disability who live in Seoul was used by formal questionnaire, and the other 5 married women with disability was randomly selected for an individual interview. The study concluded that there is an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rearing of women with disability and mental overcome of disability. Based on results, significance of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for mental overcome of disability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