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8
18.97.9.168
close menu
Candidate
< 권이 ( 卷耳 ) > 신해 ( 新解 )
서유부
중국어문학 vol. 36 35-44(10pages)
UCI I410-ECN-0102-2009-720-005828061

《詩經·周南·卷耳》는 문자상의 해석은 어렵지 않지만 역대로 衆說이 분분하여 지금까지 정설이 없다. 이 논문에서는 민가에 흔히 보이는 남녀 對唱 방식으로 이 시를 읽어야 한다는 새로운 讀法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그 근거는 첫째로 민가에는 $lt;聞歡變歌$gt;처럼 남녀 대창 방식 보편적이라는 점이고, 둘째로 《詩經》에도 $lt;齊風·鷄嗚$gt;처럼 남녀 대창 방식의 작품이 있다는 점이다. 또 $lt;周南$gt;의 11수 중 10수가 모두 3장으로 이루어진 반면 $lt;卷耳$gt;만이 4장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것은 이 시가 본래 남녀 대창으로 이루어진 3장의 시인데 필사 시에 각 장의 여성의 노래 부분을 제1장에만 적고 제2·3장에서는 생략한 缺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요컨대 $lt;卷耳$gt;는 $lt;周南$gt;의 여타 시처럼 본래 3장, 각 장 8구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전반 4구는 모두 $quot;采采卷耳, 不盈頃筐, 嗟我懷人, 置彼周行$quot;으로 여성의 노래이며 후반 4구는 모두 남자의 노래인 남녀 對唱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이해는 $lt;卷耳$gt;시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해 줄뿐 만 아니라, $lt;卷耳$gt;처럼 單行章에 疊詠章이 더해진 작품의 해석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