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0
18.97.14.90
close menu
지하철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Empirical Study of Key Factors in Satisfaction with Subway Services
심종섭(Jong Seop Shim),전기흥(Ki Heung Jeon)
산학경영연구 vol. 13 49-66(18pages)
UCI I410-ECN-0102-2009-320-006308066

우리나라 대중교통수단과 관련하여 이용자 입장에서의 만족도 연구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러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조사·분석되고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지하철 이용만족도`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지하철 이용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실태조사와 분석"을 통해, 지하철 이용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지하철 교통정책의 공익성 제고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지하철 이용만족도의 결정요인에 대한 여러 변수들(items)을 체계화시키고자 한다. 둘째, 지하철 이용승객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지하철 이용만족도의 결정요인들의 중요도(weight)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변인들의 지하철 이용만족도에 대한구조 파악은 대중교통 이용자의 지하철 이용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하철 이용 승객의 이용만족도는 지하철 이용만족도 결정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관련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지하철 이용 승객들은 수동적으로 지하철을 단순히 수용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물리적 서비스, 인적 서비스, 정시성, 접근성 등의 요인들을 상관적으로 활용하여 지하철 이용만족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지하철 이용만족도을 결정하는 요인들의 중요도를 밝혀주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접근성·물리적 서비스·인적 서비스·정시성의 순으로 지하철 이용만족도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이용승객은 교통수단을 단순히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지하철 이용만족도 결정요인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지하철 이용의 결과를 형성해 가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지하철의 이용만족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이용승객의 지하철 이용 경험에 대한 분석과 이해가 필수적임을 일러준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Despite the fact that understanding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services is a subject of great importance, authors, so far, found no systematic researches referred to that issue. From this point, studying the satisfaction with subways services can be extremely useful. Empirical study of key factors in the satisfaction with subway services is the departure point, which holds as objectives, and we believe, will contribute to overall increasing in the number of subways services used and in the amount of public benefits derived from that usag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First, several items referred to some key factors in the satisfaction of subway usage were systemized. Second, a research of specific weights attached to those key factors by subway passengers was conducted. Knowledge of the satisfaction variables system can provide deep insights into ones perceptual experience when using a subw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rious interrelated factors compose a passengers satisfaction with subway services. People do not just use subway passively; a number of key factors, like physical and personal services, exact timing, easiness to access etc. determine the passengers satisfaction with subway. In order to find out specific weights of these key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Results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subway is determined by (in order of importance) easiness to access, quality of physical services, friendliness of working stuff and timing exactness. According to the findings, passengers do not use subway as a simple mean of transportation, rather they perceive it as a complex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and overall satisfaction depends on these various factors. Therefore, to learn passengers satisfaction with subways services, passengers subway experience must be thoroughly studied and analyzed, and this is where papers value resid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