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1∼2월 사이 저수온기에 남해안 일대의 육상수조식 넙치종묘배양장에서 원생충 스쿠티카 섬모충을 분리하여 이들의 감염률 및 in vitro내 사멸실험을 하였다. 스쿠티카 섬모충은 넙치의 아가미와 체표 점액질 부분에서 60%로 가장 높게 감염되었고, 뇌조직에서는 22%로 가장 적게 감염되었다. 기생된 부위는 출혈과 함께 점액이 다량 분비되었고, 궤양도 형성되었다. 넙치 종묘배양장의 사육 원수, 상층수, 저층수에 있어서 스쿠티카 섬모충의 검출량은 각각 0∼1, 0∼413, 7∼7.3×10⁴ 마리/100㎖이었다. 사육수조내 저층수의 스쿠티카 섬모충이 사육 원수 및 상층수보다 훨씬 많이 검출되었다. 이 기생충의 사멸된 농도와 시간은 포르말린 및 과산화수소 50∼500 ppm에서는 2시간 이내에 모두 사멸되었으며, 10 ppm에서는 48시간만에 전멸되었다. 담수 10-70%에서는 48시간 이내에 전혀 사멸되지 않았으며, 담수 100%에서는 10분만에 완전 사멸되었다. 그리고 천연물질 울리고키토산 50∼500ppm에서는 1시간 이내에 모두 사멸되었으며, 10 ppm에서는 80분이내에 사멸되었다.
We investigated on the prevalence and extermination of scuticociliatids parasitic on cultured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land-marine tank system of southern Korea from January to February in 1997. The gills and the skin showed the highest infection rate(60%), and the brain showed the lowest(22%). Also, fish secreted large quantity of mucus with a bleeding and ulcerated lesions on the infected sites. The number of the parasites in inflowing sea water, surface water and bottom water of farming tank ranged 0∼1 individuals/100㎖, 0∼413 individuals/100㎖ and 7∼7.3×10⁴ individuals/100㎖, respectively. This parasite was died within 2 hours in 50∼500 ppm, 48 hours of 10 ppm formalin or hydrogen peroxide, 1 hour in 50∼500 ppm, 80 minutes of 10 ppm oligo chitosan and 10 minute in 100% but did not died until 48 hours in 10∼70% fresh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