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SCOPUS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이동규(Dong Kyu Lee),이병근(Byung Kun Lee),이강우(Kang Woo Lee)
운동과학 vol. 9 iss. 2 429-440(12pages)
UCI I410-ECN-0102-2009-690-005846780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9권 제2호. 429-440, 2000.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남자교사 139명이다(40.4±10.5세, 170.9±5.7㎝, 67.8±8.3㎏).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남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변인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변인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세부 직무 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21∼0.56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혈압, 혈당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21∼0.95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과 혈당만 설문을 통해 측정한 신체증상 및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신장,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 BMI, SGOT는 1∼2개 스트레스와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연령, 혈당, 신세증상, 심리증상이며,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T-C, SGOT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Male Teachers. Exercise Science. 9(2): 429-440,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job stress. The subjects were 139 male teacher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f Seoul and Gyunggi-Do(40.4±10.5yrs, 170.9±5.3㎝, 67.8±8.3㎏).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4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blood sugar,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principal,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class management, teaching load, general affair,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21∼0.56). In health 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blood pressure and suga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21∼0.95)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only 2 variables(age, blood sugar)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and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ight,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and T-C. The 3 variables(weight, BMI, SGO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2 stress variables.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age, blood sugar, physical and psycho symptom)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6 variables(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T-C, SGOT) 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