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증착법(thermal evaporation method)으로 제작한 비정질 As_2S_3 박막에 흡수끝(absorption edge) 영역에 해당하는 Ar+ 레이저(λ=514.5nm)를 조사하여 광암색화(photodarkening)를 이용한 회절 격자를 제작하고 회절효율을 측정하였다. Ar+ 레이저의 두 광속에 의해 형성되는 편광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학적 상처리를 위하여 비정질 As_2S_3 박막에 편광 홀로그램을 기록하고 재생하였다. 이 결과 서로 수직한 선편광에 의해 형성된 홀로그램의 경우 회절효율은 reading beam의 편광에 무관하며 회절광속의 편광은 reading beam의 편광의 함수로 주어짐을 알았다.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원편광에 의해 형성된 홀로그램의 경우 회절 효율이 reading beam의 편광상태에 따라 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매질의 동일한 곳에 두 가지 상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Reading beam의 편광을 달리함으로써 광학계의 정렬을 바꾸지 않고도 상을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두 상을 얻을 수 있었다.
Diffraction gratings were fabricated by using photodarkening effect and diffraction efficiency were measured by Ar+. laser (λ=514.5nm) in amorphous As_2S_3 semiconductor thin films prepared by thermal evaporation method. To apply the polarization hologram which was recorded by two polarized laser beams to optical signal processing, the polarization holograms were recorded and reconstructed. For the case of hologram which recorded by two orthogonal linear polarizations, the diffraction efficiency was independent on the reading beam and the polarization state of diffracted beam was found to be a function of the reading beam. On the contrary, when two recording beams have reverse circular polarizations, the diffraction efficiency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polarization of the reading beam. Using this phenomena, the two images recorded on the same position were separately selected without changing the alignment of the optical system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reading beam polar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