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Candidate
팔당호 수체에서 산소의 생성과 소모
The Oxyg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Lake Paldang
홍선희(Sun Hee Hong),석정현(Joung Hyun Seok),김동주(Dong Joo Kim),박경미(Kyung Mi Park),전선옥(Sun Ok Jeon),안태석(Tae Seok Ahn)
UCI I410-ECN-0102-2009-450-006066402

팔당호에서 유기물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용존유기물과 sediment trap으로 채집한 유기물 그리고, ultrafiltration으로 농축한 고분자 유기물의 산소 소모량을 측정하였고, 엽록소 a농도, 총인과 총질소를 측정하였다. 엽록소 a농도는 4월 Om수심에서 57.7mg/㎥으로 가장 높은 값이었고, 다른 계절에는 5.5∼14.2mg/㎥으로 나타났다. 수심 5m와 20m에 설치한 sediment trap으로 채집한 시료의 엽록소 a농도는 5월에 각각 2779.5, 9044.8mg/㎥으로 다른 계절보다 6배 이상 높은 값이었고, 물 시료와 비교하면 49배 이상의 높은 농도였다. 물시료의 산소소모율은 0.4∼0.5mg O_2·1^-1 ·day^-1로 수심별, 계절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에는 0.01∼0.04mg O_2 ·1^-1 ·day^-1의 값으로 고분자 유기물은 산소를 거의 소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심 5m에 설치된 sediment trap으로 채집한 시료에서 산소소모율은 0.48∼0.69mg O_2 ·1^-1 ·day^-1이었고, 20m 수심에서 채집된 시료에서는 0.88∼1.04mg O_2 ·1^-1 ·day^-1이였다. 수심에 따른 유기물의 변화를 보면, 5m에서 채집된 유기물의 엽록소 a농도는 20m에서 회수된 유기물의 30% 정도이나, 산소소모율은 70% 수준이다. 이러한 결과에서 팔당호에서는 표층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하여 생성된 유기물 중 저분자 유기물은 쉽게 산소를 소모하여 분해되지만, 고분자 유기물은 그대로 저층에 쌓여, 저질토의 산소 소모율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