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불확실성과 시장집중도가 산업별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의 48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1978-1993년의 자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시장의 불확실성은 물가자료를 이용하여 산업별로 ARCH 또는 OLS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시장집중도가 높아질수록 불확실성이 낮아지고, 비용상승률도 불확실성에 부의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투자의 결정요인에서는 불확실성이 시장집중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정의 유의적 관계를 나타내어 한계수입생산함수의 블록성에 의해 투자가 결정된다는 신고전학파의 이론을 지지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투자의 불가역성이나 조정비용의 비대칭성이 투자를 제약하기 보다는 시장규모의 급속한 성장으로 야기되는 불확실성이 투자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집중산업에서는 시장지배력에 의한 가격경직성으로 불확실성의 정도가 낮으며, 시장의 성장율도 투자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