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집중률과 이윤율, 해외경쟁과 집중률 등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과점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증분석 결과 시장지배력이 높은 고집중과점에서는 집중률과 이윤율이 양의 상관을 보여 시장성과를 악화시켰으나, 경쟁적 과점체제라 할 수 있는 중집중과점에서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어 시장성과를 개선하였다. 중집중과점에서 수입은 집중률에 대해 음의 상관을 나타내어 시장지배력이나 담합가능성을 낮추는 데 기여하였으며, 규모의 경제와 생산성은 집중률 상승요인이 되었다. 고집중과점에서 집중률은 국제경쟁력에 대해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연구개방투자는 과점산업 전체에서 양의 상관을 나타내어 기술혁신의 경쟁력 제고효과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고집중과점에 대해서는 시장지배력이나 담합가능성을 낮추도특 해야 하고, 중집중과점에 대해서는 규모의 경제와 동태적 효율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