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실학사상의 재조명
조성대
한국행정사학지 vol. 9 39-54(16pages)
UCI I410-ECN-0102-2009-350-006770771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先學者들이 깊이 연구하고 발전시키려고 노력하였던 實學思想, 즉 民權思想, 變革思想, 民族主體思想, 經濟思想 등을 再照明하여 安人 ·厚生을 구현하고 민족주체사관을 확립하는 계기로 삼는데 큰 意義가 있다고 하겠다. 實學은 우리나라 전통사상의 하나로서 朝鮮後期(17C∼18C)에 發興하여 유행한 後期實學을 의미한다. 實畢思想은 朝鮮社會의 理念을 주도 하던 道學-性理學의 체제가 지닌 두가지 문제에 대한 대답이라 볼 수 있으며 그 하나는 性理學의 正統主義的 理念의 폐쇄성과 독단에서 오는 思惟의 他律的이고 植息的인 현실이며, 다른 하나는 통치체제의 모순과 부패로 인한 民生의 곤궁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實學思想의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