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0
18.97.14.80
close menu
Candidate
식물플랑크톤 분포도에 따른 운문호의 선택취수 수심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um Water Intaking Depth Based on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Unmun Reservoir
이정호(Jung Ho Lee),백인호(In Ho Baek),김철호(Chul Ho Kim)
UCI I410-ECN-0102-2009-450-006698848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특성에 따른 운문호의 최적 취수수심 검토를 목적으로 1998년 2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은 7강, 12목, 28과, 51속의 75종, 4변종인 총 79 taxa였다. 2월부터 7월까지는 4월을 제외하고 규조강이 우점종이었으며, 8월은 갈색편모조강의 Rhodomonas sp.가 우점종이었으나 9월과 10월은 남조강의 Microcystis ichthyoblabe가 우점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0월이 122,800cells/mL로 가장 많았으며, 5월이 가장 적은 415cells/mL로 나타났다. 2월부터 5월까지는 수심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화는 심하지 않았으나, 6월부터의 고수온기에는 표층수를 비롯한 表水層의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深水層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5,000cells/mL이상의 현존량을 보인 수심은 6월의 경우 표층수로부터 9m의 범위이며, 9월은 6m까지, 그리고 10월은 단지 표층수에만 국한되었다. 수온과 식물플랑크톤량의 2가지 요인만을 고려한 적정 취수 수심은 전체 수심의 총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최소 75.4%에서 최대 98.0%까지 배제하며, 수온은 18.3∼20.0℃ 범위를 나타내는 6m의 수심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