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SCIE SCOPUS
IM - 9 Iymphocyte 에서 포도당과 인슐린이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정수경 , 김성운 , 양인명 , 김진우 , 김영설 , 김광원 , 최영길 , 정해원
Genes & Genomics 12권 4호 367-368(2pages)
UCI I410-ECN-0102-2009-470-007038877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IDDM)의 특징의 하나로 인슐린 저항성이 보고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인슐린의 작용에 대한 표적세포의 결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슐린 수용체 조절에 관여하는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막의 인슐린 수용체 연구에서 유용한 표적세포인 IM - 9 1ymphocyte를 이용하여 배양액의 인슐린과 포도당 농도를 여러 농도로 조절한 후 인슐린 수용체 분석과 Northern blot을 통한 mRNA 전사양상을 분석하여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인슐린 수용체 분석은 적혈구를 이용한 수용체 분석에 이용되는 Gambhir의 방법으로 하였으며, 인슐린 수용체 mRNA의 발현양상 분석에 사용될 소식자는 cDNA(phINSR 13. 1)가 클로닝된 E. coli를 배양,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소식자의 표지는 random hexamer法을 이용하였고, denaturation된 total RNA를 Northern blot과 dot blot hybridization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인슐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슐린 수용체의 최대결합율은 대조군에서 13.6%였으나, 점차 감소하여 10^(-6) M에서 2%로 감소하였고(P<0.01), 고친화성 인슐린 수용체의 수는 대조군이 5.14×10³ sites/cell이었으며, 최고 인슐린 농도인 10^(-6) M에서 0.26×10³sites/cell로 감소하였으나 (P<0.01), 저친화성 수용체는 변화하지 않았다. 2.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인슐린 수용체의 최대 결합율은 50-100㎎/dl까지는 23% 정도로 변화가 없었으나, 200-400㎎/dl에서는 약 15%로 감소하였고 (P<0.05), 고친화성 인슐린 수용체의 수는 생체 저혈당 농도인 50㎎/dl에서는 5.08×10³sites/cell이었으나, 고혈당 농도인 400㎎/dl에서 2.53×10³sites/cell로 감소하였으며(P<0.05), 저친화성 수용체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P< 0.01) 3. Northern blot을 시행하여 인슐린 수용체 mRNA는 11과 8.5kb의 두 종류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슐린 농도의 증가와는 관계없이 인슐린 수용체 mRNA 발현양상은 변하지 않았다.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11kb의 mRNA는 전사량이 증가하였으나, 8.5kb의 전사량은 감소하였다. 4. 두 종류 mRNA의 비(8.5kb/11kb)는 인슐린 수용체 수와 좋은 상관관계를 이루며 변화하였다. 5. Dot blot는 두 종류의 mRNA로 발현되는 인슐린 수용체 유전자의 연구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