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디자인에 있어 Kitsch 적 요소와 그 효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tsch in Industrial Design
최경한(Kyung Han Choi),한정완(Jung Wan Han)
디자인과학연구 vol. 2 59-69(11pages)
UCI I410-ECN-0102-2009-650-006512430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전세계는 획기적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시민계급이 부의 축적을 이루었다. 시민계급이 이룬 부의 축적은 풍요로운 삶의 바탕이 되었다. 풍요로운 삶은 새로운 욕구를 야기 시켰고, 욕구의 해소는 상품의 소비를 통하여 행해 졌으며 이는 범람하는 상품의 물결 속에서 이루어졌다. 과학의 발전과 함께 사회, 경제, 문화면에서 현대의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인간의 욕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욕구증가에 따른 해소의 갈망은 더욱 심화되며 사회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주도했다. 즉 과거, 상품에 따라서 선택이 되던 인간의 기호도 역으로 인간의 욕구 및 성향에 맞추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더욱 세분화되고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한 상품의 홍수 시대가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에 있어서 이러한 현대적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함은 필연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 사물과의 관계방식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키치에서 그러한 요소를 찾으려고 한다. 따라서 인간과 사물간의 형식적 진보의 양태로 간주되는 키치에 대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며, 인간과 안경 그리고 사물사이에 존재하는 미적가치 즉 키치에 관한 유형분류와 그 요소의 구조화 과정을 통해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의 효용성에 관해 명확성을 제시 하고자 한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19th century, the civilian class had amassed a great deal of waealth with the advent of an unprecedented Industrial growth. This wealth had been the foundation of their prosperous life which then triggered new desires among people. the way to satisfy these new desires was through consumption In the wave of affluent products. With the enhancement of science human`s desire based on modern capitalism-in the societal. economic, and cultural sense - had increased drastically and the craving to resolve it had intensified. As a result, a new change was introduced In the society, Unlike the past where people`s taste was subject to products, a new era had opened where instead of the products, the people`s desire and the environment had influence on the people`s preference. Hence, a new age of overflow of products which would meet the more diverse desires was emerging. Therefore, in industrial Desig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se factors that would satisfy the human`s desire in this day and age. In this research,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from the view point of Kitsch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human beings with the environment, and objects,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study Kitch since it is regarded as the form of the progr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bjects. Through the aesthetic value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also with objects, 1.e., It represents the effective dearness both affirmative and negative aspects through deviding type and processing structure of it`s factors about Kitsc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