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의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잎의 缺刻, bush型 초형, 糖含量의 유전분석을 하였다. 잎의 缺刻이 없는 잎은 있는 잎에 대해 단인자 유전을 하였으며 缺刻이 없는 잎이 열성으로 작용하였다. 초형은 bush형이 덩굴형에 대해 단인자 열성으로 유전하였다. F₁교배조합의 糖含量은 교배조합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5개 조합에서 교배모본의 중간값을 나타냈고 금산×흥령조합에서는 당함량이 낮은 계통 흥령과 비슷한 값을 보여 당함량은 불완전 우성으로 작용하였다. 糖含量은 sucrose 및 fructose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glucose와는 상관이 없었다.
In order to obtain the genetic information for breeding in watermelon, genetic analysis for lobed leaf, plant type, and sugar content was conducted using the F₁, F₂, and BC₁F₁generations. Non-lobed leaf was recessive to lobed leaf and controlled by a single gene. Bush type was controlled by a single recessive gene to vined type. Sugar contents of the F₁plants in five cross combinations showed medium value of the parents, whereas the F₁from the Gumsan×Hongryong cross showed the level similar to one parent, Hongryong.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the genetic background of the sugar content in these cross combinations behave in a incomplete dominant fashion. Total sugar content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to sucrose and fructose contents, but non-significant correlation to glucos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