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기존 탄성파 자료 재처리를 통한 고해상도 반사파 영향
Reprocess of Existing Seismic Data for High - Resolution Reflection Images
김기영(Ki Young Kim),정미숙(Mee Sook Jung),한상준(Sang Joon Han)
UCI I410-ECN-0102-2009-530-00660207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심부지층 연구용으로 획득한 기존의 다중채널 반사파 자료로부터 천부 지질구조 및 층서연구를 위한 고해상도 반사파 단면을 작성하는 전산처리기법을 연구하였다. 동해에서 2 ms 샘플률로 기록한 58 채널 원시기록자료를 대상으로, 시험처리 과정을 거쳐 처리순서 및 최적변수를 결정하였다. 근거리 채널자료만을 대상으로 디컨볼루션, 주파수 필터 등을 적용시켜 작성한 중합단면도는 수직 해상도가 기존 자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모습을 보인다. 해상도와 신호대 잡음비를 고려할 때, 수심이 깊지 않고 퇴적층이 그리 두껍지 않은 동해의 대륙사면 자료는 중첩도 100%, 수심과 퇴적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온누리분지에서는 중첩도 600%의 중합단면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Reprocessing techniques are developed for high-resolution images of shallow structures and stratigraphic features from reflection data originally obtained for deep seismic studies. Conventional 58-channel data with a 2-ms sampling interval from the East Sea are used for subsequent tests to determine adequate processing sequence and optimal parameters for high-resolution sections. Compared with conventionally processed data, vertical resolution of newly processed sections is greatly enhanced through deconvolutions and frequency filters applied to near traces only. Considering both resolution and signal-to-noise ratio, stack sections of 100% coverage are good enough in the continental slope where water depth is shallow and thickness of sedimentary body is relatively thin. In the Onnuri Basin, however, 600% coverage may be a better choice due to relatively thick sediments beneath the deep water colum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