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리튬전지의 리사이클링의 일환으로 반응변수가 LiCoO₂ 침출 거동에 미치는 영향과 침출에 대한 이론적인 속도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광액 농도 5∼40 g/L, 반응 온도 25∼90℃, 질산농도 0.1∼1 M, H₂O₂ 첨가량 0∼3.3 vol.%, 교반속도 400 rpm의 범위에서 온도와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LiCoO₂의 침출율은 증가하였으며, 광액농도가 증가할수록 침출율은 감소하였다. H₂O₂를 첨가하여 환원침출을 수행한 결과, Co와 Li의 침출율이 95% 이상이었는데, 이는 환원제가 Co^(3+)를 Co^(2+)로 환원시켜 침출이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속도론적 고찰을 통하여 Co와 Li의 침출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고, 각각의 반응속도는 용액중의 자신의 농도에 반비례하였다. 그리고 Co와 Li의 겉보기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12.5와 11.4 ㎉/㏖ 이었으며, 이로부터 계면에서의 화학반응 율속단계 이었다.
Reductive leaching of LiCoO₂ used as a cathodic active materials for recovering Li and Co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y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reaction variables. The leaching efficiency of LiCoO₂ increased with increase of temperature, concentration of HNO₃ and decrease of pulp density. Li and Co from LiCoO₂ were leached over 95% with addition of H₂O₂ as a reductant. It is due to reduction of Co^(3+) to Co^(2+). Dissolution rate of Co and Li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ose own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independently.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Co and Li was 12.5 and 11.45 ㎉/㏖, respectively. It means surface chemical reaction is rate control step of dissolution of LiCoO₂ with HNO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