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 지역에서 채굴공동의 고해상도 해석단면을 얻기 위한 3차원 측선 배열을 설계하고 attribute 분석을 실시하였다. 채택한 배열은 각 CMP bin에서 전 영역의 방위각을 가지는 full range 3D 배열이며 CMP bin의 크기는 0.5 m×1 m로 설정하였다. 40개 이상의 nominal 중합 수를 가지도록 설계된 full range 3D 배열에서 단위 발파측선에 대한 최대 중합 수는 4개, 템플리트 당 중합 수는 최대 50중합이며 근거리 오프셋(≤20 m)만의 중합 수는 최대 15개, 원거리 오프셋(≥40 m)은 25개이다. 템플리트 간의 이동간격이 20 m로서 CMP bin 커버리지가 겹치는 두 개의 템플리트의 조합에서는 근거리 오프셋의 최대 중합수는 단위 템플리트의 중합 수와 동일하나 그 영역이 크로스라인 방향으로 넓어졌으며 원거리 오프셋의 중합 수는 크로스라인 방향으로 최대 50중합까지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3-Dimensional array was designed and attributes were analyzed for high resolution imaging of underground cavities by mining in an area of ground subsidence. Full range 3D array with complete range of azimuths from the bins was accepted and CMP bin size was set to 0.5 m×1 m. Full range 3D array which was designed with nominal fold of ≥40, revealed that maximum number of fold was 4 and 50 per unit shot-line and unit template respectively. Also, it showed that maximum number of fold was 15 in the near offset range(≤20 m) and 25 in the far offset range(≥40 m), respectively. Two assembled template in which increment of template from adjacent one was 20 m, CMP bin coverage was overlapped, maximum number of fold was the same as that of unit template but wider in the near offset range. In contrast, maximum number of fold increased up to 50 in the far offset range in the direction of cross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