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한국사회의 선택혼 : 시기별 추이와 국제비교
Assortative Marriage in Korea
이명진(Myoung Jin Lee)
한국사회학 34권 4호 297-323(28pages)
UCI I410-ECN-0102-2009-330-00820516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계층구조의 유연성의 추이를 살펴보고자 그 하나의 지표로 1950년대 이후의 선택혼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결과를 좀 더 다각적으로 해석하고자 경제발전 단계가 유사한 몇 개의 국가들과도 비교를 하였다. 연구의 기본 전제는 사람들간의 지위차이(status distance)가 클수록, 그들간의 사회적 결합(social association)의 정도는 작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결합으로 간주되는 결혼의 경우에, 우리는 사회적 지위차이가 많이 나는 남녀간일수록 그들의 결혼의 가능성 정도가 작아진다라고 예상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향이 바로 사회적 지위에 대한 선택결혼을 초래하는 것이다. 적어도 본인의 교육수준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선택혼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이를 시기별로 살펴보면, 1950년대 이후 선택혼의 정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개발이 급격하게 이루어진 1960년에서 1970년대 사이에는 선택혼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서도 역시 선택혼은 증가하고 있으나 그 중 가정도는 줄어들고 있다. 둘째, 어떠한 형태의 선택혼이 증가하는가를 살펴보면, 지위영속성이나 지위장애에 의한 선택혼의 경향은 꾸준히 늘고 있다. 셋째, 반면에 지위위계나 거리에 의한 선택혼의 경향은 전체 선택혼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크게 증가하고 있다. 네째, 비슷한 경제발전 단계를 보이고 있는 국가들과 비교해 보아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선택혼의 정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의 선택혼의 많은 부분은 동아시아 사회(특히 한국과 일본)에 계층간의 위계가 갖는 중요성에 비롯한다고 보여진다.

This study examines patterns of assortative marriage and tries to explain variation in the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in Korea. For this purpose, marriage tables across nations and different periods are analyzed. A primary assumption of the study is that status distance inhibits social association, such as friendship and marriage. As individuals differ more in status, the rate of social association between them declines. Marriage be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ociations, one would expect marriage to become less frequent as status distance between potential spouses increases; thus producing assortative marriage with respect to social statu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1) the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has increased since 1950s in Korea; (2) the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with respect to status persistence and status barrier has constantly increased; (3) the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with respect to status hierarchy and status distance largely increased from 1960s to 1970s; and (4)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economic development, Korea show relatively a higher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With economic growth Korea experiences a increase in the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with respect to social status. Its culture also seem to have some impact on the degree of assortative marriage. The high emphasis on hierarchy and education in Korea affects the importance of status difference and assortative with respect to social statu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