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이해 능력에 따른 대용어 처리시 억압기제의 효율성 차이
Comprehension Skill and the Efficiency of Suppression Mechanism in Anaphoric Reference
김선주 . 이만영 ( Sun Joo Kim . Mahn Young Lee )
UCI I410-ECN-0102-2009-180-00695134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능력수준에 따른 억압기제의 효율성 차이를 대용어 참조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어재인과제를 사용하여 이해능력에 따른 잠재적인 참조어의 활성화 차이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낮은 수준의 이해자는 높은 수준의 이해자에 비해 잠재적인 참조어 중 문장맥락에 맞는 적절한 참조어와 함께 맥락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참조어의 활성화도 유지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실험 2에서는 검사 단어의 맥락검증과제를 실시하였는데 낮은 수준의 이해자는 높은 수준의 이해자에 비해 부적절한 참조어를 부정하는데 반응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 결과들은 낮은 수준의 이해자가 덜 효율적인 억압기제를 가졌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논의되었다.

We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s who differ in comprehension skill have differences in the the efficiency of their suppression mechanism in anaphoric reference. In experiment 1, using the probe recognition task, it was found that while more skilled comprehenders responded slower to the inappropriate referents of anaphors compared to the appropriate referents in the presence of context, less skilled comprehenders did not respond slower, suggesting that less skilled comprehender did not suppress the context-inappropriate referents.1n experiment 2, using the context verification task, it was found that less skilled comprehenders reject less efficiently the inappropriate referents.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of Gernsbacher (1988) that less skilled comprehenders have less efficient suppression mechan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