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한국형 MMPI 내용척도의 표준화 연구 : 규준 및 예비적 해석자료
Standardization of MMPI Content Scales-Korean Version : Contemporary Norms and Preliminary Interpretative Data
임영란 , 김진영 , 안창일 ( Young Ran Lim , Jin Young Kim , Chang Yil Ahn )
UCI I410-ECN-0102-2009-180-00695077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MMPI 내용척도는 수검자가 검사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해주며, MMPI의 해석을 정교화시켜 줄 수 있는 구성개념 지향적 척도들이다. 본 연구는 15개 척도로 구성된 한국형내용척도의 규준을 제시하고, 대학의 상담기관을 찾은 대학생 자료를 통해 내용척도의 활용 방안및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내용척도의 해석을 위해 신판 MMPI 표준화 집단을 대상으로 남녀별로 일반인과 학생군(대학생, 고등학생, 중학생)의 규준을 산출하였다. 또한 규준을 적용하여 내용척도가 정신병리를 반영하는 임상척도의 보완적 정보로서, 혹은 정상인의 성격특성이나 행동 특징을 기술해주는 데 독자적으로 유용한 척도임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내용척도를 다양한 임상장면과 연구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정신병리나 성격특성에 대한 MMPI의 예측력을 높히는 내용척도의 공헌도가 논의되었다.

MMPI Content Scales help clarifying communications between testee and tester and they are construct-oriented scales which refine MMPI interpre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 The one is to establish norms for Korean version of the Content Sclaes which consists of 15 scales and the other is to investigate feasability for clinical implementation basing on data gathering from college students who have visited our couseling center. New norms were generated for gender and education level based on MMPI standardization sample for the interpretation of MMPI Content Scales. Applying this new norms,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Content Scales provide any supplimentary information to Clinical Scales or it is an independently useful scale which describ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ormal group. Finally, the various methods of implementation in clinical settings and research, and contributions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by MMPI Content Scale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