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89
216.73.216.89
close menu
도정수율과 (搗精收率)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 (Ⅱ) - 벼의 정백과정에 (精白過程) 대한 실험적 연구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 (Ⅱ) - Experimental Study on Rice Whitening Mechanism -
박준걸 , 정창주 , 노상하 ( Joon Gul Park , Chang Joo Chung , Sang Ha Noh )
UCI I410-ECN-0102-2009-550-007337569

이 硏究는 精白過稅中에 發生하는 搗精産物 즉, 精白米, 米糖, 碎米等의 發生을 調査함으로써 玄米 精白이 進行되는 科程을 밝히고자 함이다. 本 實驗에서는 噴風??擦式 精米機를 使用하였으며, 精米機의 롤러 回轉速度 850rpm으로 固 定하고 出口抵抗을 3가지 水準으로 變化시켰다. 한편 이 實驗에 使用된 벼는 밀양 23號로써 전형적인. 통일계品種의 一種이다. 每循環마다 生産되는 精白米 및 副産物로부터 sample를 採取하여 美糖, 大小碎米 및 完全米 및 搗精收率을 分析하였다. 1) 全體糖層의 75%가 2번째 循環以內에서 除去되 었다. 糖層除去率은 出口抵抗에 크게 影響을 받으며, 높은 出口抵抗에서 높은 糖層除去率을 보였다. 2) 大碎米의 發生은 대부분 精白科程 初期段階 에서 이루어 졌으며, 完全米로 부터의 새로운 碎米發生은 循環이 反復됨에 따라서 急激히 減少하였다. 出口抵抗과 大碎米發生과의 關係는 出口抵抗이 增加할수록 大碎米의 發生도 增加하였다. 3) 米糖集積器로부터 採取한 sample에서 測定 大碎米는 量的으로 다른 搗精産物에 比해 적은 편이었다.8%의 米糖이 除去된 後 小碎米는 玄米重量의 0.6% 以下로 나타났다. 4) 搗精收率과 完全米收率은 어느 정도 出口抵抗의 影響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出口抵抗이 增加함에 따라서 특히 完全米收率은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냈기 때문에 白米의 質的低下를 막기 위해 높은 出口抵抗(本 實驗結果에 依하면 85g/㎠)을 使用하는 것은 不適當한 것으로 思慮된다. 5) 百度計 測定値와 米糖除去程度(精白度) 사이에는 高度의 相關關係가 있었다. 그러므로 "KETT"製 白度計 精白米의 精白度를 判明하는데 使利 使用될 수 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