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0
18.97.14.80
close menu
도정수율과 (搗精收率)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 (Ⅰ) - 벼의 도정성능에 영향을 주는 작동요인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 (Ⅰ) - Operational Factors Affecting Rice Milling Performance -
정창주 , 류관희 , 박준걸 , 이성범 ( C . J . Chung , K . H . Ryu , J . G . Park , S . B . Lee )
UCI I410-ECN-0102-2009-550-007337403

本 硏究는 現在 國內 農村에서 間題視되고 있는 벼의 乾燥와 貯藏方法을 改善하기 爲한 한가지 方法으로써 Grain bin의 利用에 따른 技術的인 適用可能性을 究明하는데 있었으며 乾燥熱源으로서는 常溫空氣와 Solar Collector에 依한 補充加熱空氣를 使用하였다. 乾燥試驗에서는 벼의 乾燥速度, 層別含水率의 變化, 動力消耗量, 據精收率 等을 測定 比較하였으며 乾燥가 完了된 後에는 貯藏試驗도 아울러 實施하였다. 本 試驗을 通하여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本論驗에 使用된 Solar Collector는 集熱面積이 27.7㎡의 Flat-plate型式이며 內部에 太湯熱의 貯藏媒體로서 約 7㎥의 검은 돌을 使用하였다. Collector의 效率은 35%이었으며 Collector를 通過하여 Bin으로 들어가는 空氣의 溫度는 外氣溫에 比하여 晝間에는 約 4℃, 夜間에는 約 8℃ 程度 上昇된 것으로 나타났다. 2. 常溫空氣와 Collector를 利用한 乾燥試驗結果 安全貯藏含水率에 到達하는데 各己 約 7日과 約 5日 이 所要되었다. 3. 太陽熱 乾燥는 常溫通風乾燥에 比하여 穀物層間의 含水率差異가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乾燥速麥가 빠를뿐만 아니라 動力消耗量도 적은 것으로 分析되 었다. 4. 乾燥試驗이 完了된 直後 二次에 걸처 Bin內에서 貯藏試驗을 實施한 結果 貯藏期間中 벼의 安全保全이 可能했으며 平均含水率이 12.0∼14.5%범위에서 유지되었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