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양보와 수정 : 대립의 두 유형
Concession et Rectification : deux types d' opposition
홍종화 ( Jong Hwa Hong )
UCI I410-ECN-0102-2009-760-008971965

본 논문에서는 이유, 조건, 계기 등과의 논리적 관계를 통해 양보의 개념을 정의한다. 그에 따르면 양보는 `유보 인과론`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또한 담화상에서 양보구문의 의미·화용론적 기제를 밝혀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담화상에서 양보구문은 항상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추론과정을 전제하고 있다. 두 연계 대상 사이의 인과관계의 제시와 유보가 그것이다. 발화행위 과정상의 이와같은 인과관계의 제시와 유보가 모든 양보 개념에 내재되어 있는 `대립` 개념을 설명해 준다. 다양한 양보 구문이나 또는 다양한 양보 개념의 해석상의 차이는 따라서 다름아닌 그와 같은 `전제적` 대립 개념을 이해하는 방식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다. 논리적 추론 형식에 따라 원인절과 결과절 사이의 대립 개념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양보와 논증적 추론 형식에 따라 원인절과 결과절 사이의 대립 체계를 설명할 수 있는 논증적 양보는 따라서 양보구문의 두 하위 유형을 이루게 된다. 양보 구문에 내재된 이와 같은 대립 개념은 궁극적으로는 양보구문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담화형식에 내재된 두 의미 주체로서의 화자와 청자 사이의 대립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양보 구문을 `다성적` 발화구조를 지닌 `대화체` 담화의 전형으로 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