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에는 접미사 -age 또는 -ment으로 조어된 파생명사가 많다. 그 중에는 abattage/ abattement, boisage/boisement, doublage/ doublement, nettoyage/ nettoiement, re′glage/ re`glement... 처럼 동일한 동사의 어간에서 형성된 대립쌍도 흔하다. 우리는 Petit Robert(94)에서 대략 210개에 달하는 이와 같은 대립쌍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파생어의 의미는 그 뿌리가 되는 동사의 의미와 접미사 -age 또는 -ment의 의미적 가치가 결합되어 정해진다. 그런데, 동일한 동사의 어간에 붙어서 명사를 파생하는 -age와 -ment의 의미적 가치를 구별하는 일은 불어에 대한 언어 직관력이 선험적으로 결여된 외국인에게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서 완전동의어로 규정한 83종류(ex. ve^lage/ ve^lement)를 제외한 나머지 대립쌍들 가운데 특별히 52종류를 대상으로 두 접미사의 어휘적 또는 통어적인 변별 의미를 분석하면서, 이들이 동사 어간에 접미될 때 관여되는 `원칙(들)`에 대하여 밝혀보고자 하였다. 어휘적인 차원에서 볼 때,-age로 접미된 파생명사는 특히 기술어로 쓰이는 구상어와 관련이 있는 반면에 -ment으로 접미된 것은 심리적 또는 사회적 분야에서 쓰이는 추상어와 관계가 깊음을 알 수 있었다 (ex. l`abattage des arbres/ l`abattement de Paul). 한편, 통어적 차원에서도 이 두 접미사의 기능은 아주 다르게 나타난다. 접미사 -age 타동적인 행위를 내포하고 있고 (ex. on abat des arbres → l`abattage des arbres), -ment은 자동적 또는 재귀적인 행위를 내포하고 있는 접미사로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x. le vent s`abat; Paul semble s`abattre par les adieux →l`abattement de Paul). 이러한 고찰은 불어의 행위접미사 -age와 -ment으로 조어된 명사들의 변별 의미와 기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하는데 유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