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SCOPUS
기상반응에 의한 초미립 무기분말 제조시 입자성장 모델연구 - 초미립 철분말 제조에의 응용 -
Modeling of Particle Growth in the Manufacture of Ultrafine Inorganic Powders by the Gas - phase Reaction - Application to the Manufacture of Ultrafine Iron Powders -
박균영 , 오의경 , 김선근 , 장희동 ( Kyun Young Park , Eui Kyung Oh , Sun Geon Kim , Hee Dong Jang )
화학공학 34권 4호 534-542(9pages)
UCI I410-ECN-0102-2008-570-001784360

기상반응에 의해 금속 및 금속산화물들의 무기분말 제조시 입자의 크기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전의 단분자 1개가 핵을 이루기에 충분하다는 가정을 제거하고, 고전적 이론에 근거한 핵생성 속도 및 임계핵 구성 단분자 갯수 계산을 모델에 포함시켰다. 본 모델을 FeCl₂의 수소 환원에 의한 철 분말 제조에 적용한 결과 평균입경은 실험값의 1/2-2/3로 나타났다. 문헌에 나와 있는 철 표면장력 값을 1.283배로 조정할 경우 반응온도 900℃에서의 실험값과 일치하였다. FeCl₂의 공급량에 따라 입경이 증가하는 추세는 실험결과와 일치하나, 예비가열온도 및 반응온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실험결과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실험결과와의 차이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resented is a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inorganic powders made by the gasphase reaction. The assumption used in previous models that a monomer forms a nucleus is eliminated; the model incorporates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monomers required to form a nucleus and the nucleation rate based on the classical theory. The present model was applied to a manufacture of ultrafine iron powders by hydrogen reduction of FeCl₂ vapor.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ron powder predicted by the model was one half to two thirds of the experimental value. For a reaction temperature of 900℃, the model could fit the experimental diameter by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iron 1.283 times as high as that in the literature. The model prediction agrees well with experimental observation in the trend of particle size increasing with the feed rate of FeCl₂. The model, however, showed a deviation from experimental observations on the effects of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of the preheating temperature on the particle size. Further investigation needs to be followed to correct the mode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