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신동엽의 죽음의식과 금강 자살사건 -신동엽 시 「강」과 산문 「금강잡기」 : 신동엽 연구(8)-
Poet Shin Dong-yup’s Death Consciousness and Geumgang Suicide
김응교 ( Kim Eung-gyo )
국제어문 88권 223-245(23pages)
DOI 10.31147/IALL.88.8
UCI I410-ECN-0102-2022-800-000576603

이 글은 신동엽 시인의 시 「강」과 산문 「금강잡기」를 분석하며, 연관된 실제사건을 알아보고, 신동엽이 어떻게 글을 썼는지 추론해본 글이다. 첫째, 실제사건이다. 신동엽은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작품을 썼다. 「진달래 산천」도 빨치산경험이 있다는 것을 최근에 발표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장답사다. 「금강잡기」를 보면 실제 사건이 일어난 현장을 가보았다고 써있다. 서사시 『금강』도 현장 답사를 충분히 하고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누구나 잊지 못할 공간이 있다. 신동엽 시인은 ‘금강’을 사랑했고, 금강에 얽힌 죽음을 시와 산문으로 썼다. 셋째, 문장구성이다. 「금강잡기」는 기승전결이라는 고전적인 짜임으로 한 편의 산문을 완성시켰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죽음을 모티프로 한 작품은 신동엽 시 전 기간에 여러 번 나온다. 죽음이란 모티프는 떼어낼 수 없는 상상력의 근원이었다. 거기 죽음에서 머물려 하지 않고 그는 생명(生命)을 쓰고 싶어했다(「시인정신론」). 그러나 그는 유고시 「강」에 죽음 자체를 썼고, 산문 「금강잡기」에서 는 죽음과 예술을 함께 보려는 생성의 의지를 담으려 했다.

This article analyzes Shin Dong-yup’s poem “River” (강) and prose writing “Geumgangjagi” ( “Geumgang River Story,” 금강잡기, 錦江雜記), examining the actual events to infer how Shin Dong-yup wrote. First, Shin Dong-yup wrote his work against the backdrop of an actual incident, the “Jindalae Sancheon” (진달래 산천), as confirmed in a recent article. Second, it is based on his own experience. “Geumgangjagi” states that he had been to the scene where the incident occurred. The epic poem “Geumgang” is also known to have been fully explored and written, constituting an unforgettable space. As a poet, Shin Dong-yup loved the “Geumgang,” and wrote poetry and prose about the death at the Geumgang River. Third, the sentence composition shows that “Geumgangjagi” was composed as prose with the classic arrangement of “Geumgangjagi.” Works using the motif of death, an inexhaustible source of inspiration for him, appear several times throughout Shin Dong-yup’s poetic career; he sought to use life (poetism) so as not to remain in death. However, he wrote of death itself in the poem “River,” and in “Geumgangjagi” he tried to capture his creative will to see death and art together.

1. 죽음의 음악이 울리고 있다-서론
2. 전쟁 이후, 자살 사건과 글쓰기
3. 신동엽의 글쓰기-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