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7.101.7
18.117.101.7
close menu
KCI 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간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steem Trajectory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한광현 ( Han Kwang Hyun ) , 강상경 ( Kahng Sang Kyoung )
DOI 10.38082/SWPR.2021.18.01.5
UCI I410-ECN-0102-2022-000-000512198

결혼이주여성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한국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궤적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에 참여한 1,553명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7개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두 변수 궤적 간의 종단적 변화 관계를 추정하기 위한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조건부 모형 분석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궤적은 모두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해서 관련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실시한 조건부모형 분석 결과, 초기 문화적응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감소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초기 자아존중감 수준은 문화적응스트레스 변화 속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궤적 간 상호관계는 유의하지만 이러한 관계의 근본 원인은 청소년기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자존감 궤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marriage migrant women’s lives and human ri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s of ‘marriage migrant women (MMW)’ with adolescent children, focusing o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culturation stress (AS)’ and their ‘self-esteem (SE)’ trajector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used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1,553 MMW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over the course of 7 years, and then created a latent growth model which estimat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rajectori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Results of the unconditional model showed that MMW’s AS and SE decreased over time. When controlling for relevant socioeconomic variables, the conditional model showed that the effects of initial AS on the SE slope was sta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MMW with higher AS experienced decreases in SE much more quickly than those with lower AS. By contrast, the effects of initial SE on the AS slo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Given these findings, it is critical that policies reduce AS for MMW in order for them to enhance their SE,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ir ability to adequately care for their adolescent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study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MW who are responsible for the care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